경기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디지털 전환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1일 한국은행 경기본부는 외부 전문가와 함께 ‘경기지역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대응 정도는 매우 미흡하다고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이란 디지털과 물리적 요소들이 통합됨에 따라 경제활동 전반이 정보통신기술(ICT)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체제로의 탈바꿈 과정이다. 단순히 기업 경영활동에 ICT를 적용해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추구했던 디지털화(Digitalization)와는 구별된다.

더욱이 2020년 이후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경제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디지털 전환은 더욱 속도를 냈다.

경기도는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산업이 발달하고 중소 제조기업이 가장 많이 분포한 지역으로 제조산업에서 중추 노릇을 담당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전환은 미비하다고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실태를 살펴보고자 도내 중소 제조기업 932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38.8%)과 필요성·영향력에 대한 인식(36.5%)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대 효과로 업무 효율화(47%), 생산성·협업 개선(22%),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12%), 신제품·서비스 개발(11%)을 꼽았다.

그러나 절반 이상 기업이 디지털 전환 추진 계획이 없다(55%)고 답했고, 추진 중·추진 예정 기업은 43%에 그쳤다. 투자 비용(31%)과 투자 대비 성과의 불확실성(22%)이 디지털 전환 추진에 있어 걸림돌로 작용했다.

정부와 지자체의 여러 정책 추진에도 지원을 받는 경우는 드물었다. 정부의 지원정책을 인지한 기업은 38.9%이며, 이 중 약 30% 기업만이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받았다.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예산 지원 확대(30.6%)를 꼽았다. 이어 관련 정보 제공(12.9%), 전문인력 양성(10.6%) 순으로 답했다.

윤환희 한국은행 경기본부 기획금융팀 조사역은 "디지털 전환의 산업 혁신 전략은 장기간 연속성을 갖고 추진해야 할 과제다. 주요 선진국 사례와 같이 정부 지원과 민간 주도의 정책 추진으로 디지털 전환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며, "지자체는 중앙정부와 차별화된 정책 운영으로 도내 산업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재학 기자 kj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