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오늘은 제78회 식목일이다. 식목일(植木日)은 글자 그대로 나무를 심는 날이다.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은 1949년 4월 5일 식목일을 공휴일로 처음 지정했다. 그리고 황폐해진 국토를 복구하기 위해 한국전쟁 중에도 식목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전국 관공서, 기업, 학교 등에서 대규모로 나무를 심는 행사를 실시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그런데 2006년부터는 주5일제로 노동시간이 줄어들면서 식목일은 비공휴일이 됐다. 그래서 지금은 ‘법정공휴일’이 아니라 ‘법정기념일’이라 불린다. 

식목일 유래를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면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조선 성종 때 왕, 세자, 문무백관이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 날을 기원으로 한다는 설이 있고, 두 번째로는 신라가 당나라를 물리치고 삼국통일을 이룬 날인 677년 2월 25일(양력 4월 5일)을 기념하기 위해 나무를 심었다는 데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다.

세계 최초의 식목 행사는 1872년 4월 10일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열렸다. 그 뒤 식목운동을 주장한 J. S. 모텅의 생일인 3월 22일을 아버데이(Arbor Day)로 정해 각종 축제를 벌이자 식목일 행사가 전 세계적으로 퍼져 나갔다고 한다.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도시계획 규제 완화,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 등으로 자연환경이 많이 오염·훼손되고, 기후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는 바람에 ‘식목일은 나무를 심기 좋은 시기’라는 말은 무색해진 지 오래다. 그래서 식목일을 3월 중순으로 옮기는 방안이 한때 논의되기도 했으나 국민 정서와 상징성을 감안해 당분간 존치하는 쪽으로 방향이 정해진 듯하다.

최근 기후위기로 기온이 계속 상승해서 경북 울진과 봉화에서는 2020년 한 해만 100그루의 금강소나무가 고사했고, 지리산 국립공원 구상나무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1만6천 그루 넘게 고사했다. 2022년 강원·경북 동해안 산불은 겨울철 지속된 가뭄과 초속 25m가 넘는 강풍, 험준한 산악지형, 거대한 연무 등 최악의 조건에서 급속히 확산해 2만707㏊라는 역대 최대 산림피해를 냈고 많은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주민 삶의 터전과 산림생태계가 파괴됐다. 그래서 한쪽에서는 나무가 죽어가고, 다른 한쪽에서는 나무를 심는 웃지 못할 풍경이 계속된다.

산불로 잿더미가 된 산림을 원상 복구하는 데에는 100년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되고, 피해지역 주민들은 생명과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 그러므로 국민들과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는 산불이 발생하는 원인을 알고 대책을 마련해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산불은 주로 입산자 실화, 담뱃불 실화, 쓰레기 소각, 작업장 화재 등 사소한 부주의와 방심으로 발생하는 인재(人災)다.

산불을 예방하려면 우선 국민들께서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는 논두렁·밭두렁을 태우거나 각종 쓰레기를 소각하지 말고, 폐쇄된 등산로와 입산통제구역에는 절대로 출입하지 말아야 하며, 입산이 가능한 구역이라도 라이터, 버너 등 산불을 유발할 만한 물품을 소지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산림 또는 인접지에서는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리지 말고, 산불을 목격했을 때에는 즉시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가까운 산림·소방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는 산불 예방과 감시활동 강화, 헬기 가동률 향상, 좁은 임도 확장, 전문적인 진화인력 확충, 드론을 활용한 홍보방송과 야간 뒷불 감시,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조성, 나무 가지치기로 나무 간격 넓히기, 산불 발생 범죄자에 대한 처벌 강화 등 각종 산불 방지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해 큰 산불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그리고 산림청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와 유관기관의 산불 대응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하고, 주택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한 주변 산림 관리 방안도 적극 마련해야 한다. 또한 초대형 산불에 대해서는 국가 전체의 대응 역량이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동원되도록 국가자원의 총동원 체계가 보다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