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인도네시아와 인도를 방문했다. 둘 다 의미가 큰 곳이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4위국(2억8천만 명)에 면적은 세계에서 14번째로 크다. 인도는 언급할 필요도 없다. 올해 중국을 제치고 인구 1위국(14억 명)에 올랐고 면적은 7번째다. 양국 공히 소비시장뿐만 아니라 공급기지로서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제조업에서 넥스트 차이나가 인도라면, 이를 뒷받침할 공급망 협력 메카는 인도네시아가 유력하다.

대통령의 첫 방문지인 인도네시아는 2023년 의장국으로 그간 아세안의 중심을 잡아 온 나라다. 미·중 경쟁에서 미국의 대아세안 중시 접근이 강화되는 추세지만, 여전히 양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다. 우리로선 배터리, 전기차 부문에서 전략적 이해 관계가 증가할 뿐 아니라 이와 관련한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이 필수인 곳이다. 최근 세계적 경기 침체와 인도네시아 내수시장 위축, 코로나 따위로 교역관계가 저조해졌지만 CEPA 타결로 앞으로 우리 기업들의 진출이 확대되리라 예상한다.

인도네시아와 함께 올해 수교 50주년을 맞은 인도는 그간 우리에게 미·일·중에 비해 정치·외교·경제 비중이 낮은 나라였다. 이제는 세계에서 차지하는 인도의 역할이 너무 커져 새로운 접근이 불가피하다. 미·중 무역 분쟁이 공급망 구조를 근본 수준에서 바꿔 나간다. 부가가치 창출에 중점을 둔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적시 물건이 공급되는 게 중요한 방향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진행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는 중국을 대신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로 꼽힌다. 그 흐름을 놓쳐선 안 된다.

조국 근대화로 일어선 한국 경제가 중국 개방이라는 기회에 올라타 제2차 경제 부흥에 성공했지만, 이제는 역으로 중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경기 둔화로 위기에 직면한 신세가 됐다. 이를 극복할 대안이 인도와 아세안이다. 이들 지역의 잠재적 총량은 막강하다. 중국보다 인구는 1.5배 더 많고 인건비는 2배 이상 저렴하다. 중국식 혐한도 없다. 오히려 한류의 절정이라는 평가까지 나온다. 신실하게만 접근한다면 우리로선 훼손된 무역··산업 경쟁력을 극복하고 제3차 경제 부흥의 전환점이 되리라 확신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