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학 전 인천산곡남중 교장
전재학 전 인천산곡남중 교장

몇 해 전 통계에서 국가별 월평균 독서량 비교가 보도됐다. 미국 6.6권, 일본 6.1권, 프랑스 5.9권 … 한국 0.8권 순이었다. 수치상 참으로 부끄러운 대한민국의 모습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우리로서는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요즘에는 ‘포노 사피엔스’라 칭하듯이 전 세계인 손에 스마트폰이 부착되다시피 함으로써 인간에게 오장칠부가 됐고, 비록 온라인 독서(e-book)라 할지라도 국가 간 책 읽기 격차가 과거에 비해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이다.

잠시 우리의 과거로 돌아가 보자. 한때 일본은 한국이 경제적 도약으로 무섭게 추격해 오자 이를 의식하면서도 "… 한국은 두렵지 않다"고 담대하게 말했다. 왜 그랬을까? 그 이면에는 자국민의 독서량과 비교해 거의 책을 읽지 않는 한국과의 비교에서 오는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었다. 그만큼 독서는 그 나라의 국력을 좌우하는 버팀목으로 간주됐다.

현재 G3 국가인 일본은 한때 경제가 주춤했어도 노벨상 수상자를 중단 없이 배출했다. 최근엔 일본 정부가 나서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국제공인교육과정)를 도입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을 가진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개혁을 실시 중이다. 이는 언제나 우리보다 한 발 앞서 세계적 흐름에 대응하는 일본 정부의 탁월한 정책으로, 그 배경에는 독서의 힘이란 국민적 자산이 있기에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그렇다면 우리 현실은 어떤가? 국내 선각자들 사이에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탈진실(post-truth)’이 사회 전반에 확산하면서 한국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전략적 진보가 가능한가?’라는 주제 토론이 있었다. 발제자인 최진석 교수는 "우리가 그간 전술적인 진보에서 한걸음 나아가 우리만의 패러다임으로 성장하며 판을 짜는 전략국가로 건너가야 한다"고 강변했다. 그렇지 않으면 곧바로 하강의 길로 들어선다는 경고와 함께 말이다. 이후 최 교수는 추격국가에서 선도국가로, 전술국가에서 전략국가로 나아가려면 우선 책 읽기로 지식을 키워야 한다는 신념으로 ‘새말 새몸짓, 책 읽고 건너가기’ 운동을 제안했다.

시선을 해외로 돌려 보자. 서구 선진국들은 ‘독서량은 부와 비례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예컨대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 마크 저커버그 등 글로벌 리더들은 하나같이 독서광이고, 일류대 졸업장보다 독서를 더 중시했다. 결국 창의성과 융합 능력이 중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쟁력은 풍부한 독서와 이에 기초하는 창의적 리더십, 경영 능력이 성패를 좌우한다. 지금도 세계경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의 유능한 CEO들은 하나같이 독서광이지 않은가?

다행스럽게도 요즘 우리 초·중등학교는 학교 공간혁신사업으로 학생들의 취향에 적합하게 도서관이 새롭게 탈바꿈한다. 자유롭고 편리한 자세(예컨대 누워서 책 읽기)로 독서를 하게끔 만든 특별한 도서관 환경은 학생들에게 매우 인기다. 이를 반영하듯 코로나로 학교 문을 닫았을 때도 도서관 대출만은 허용해 달라는 일부 학생과 학부모 요청이 끊이지 않았다. 이렇듯 독서를 생활화하는 모습을 생각하니 다시금 국가의 희망으로 다가온다.

최근 학교 독서교육에 희망을 알리는 통계가 보도됐다. 과거 교양서적이든 문학서적이든 11권 이상 읽은 학생이 한 권도 읽지 않은 학생보다 수능 국어영역 20점 이상, 수리영역도 8점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그것이다. 그만큼 독서는 힘이 세다. 이는 곧 현대의 국력을 대변하기도 한다. 다시금 독서는 시대적 당위성이고, 각종 난맥 상황을 극복하는 지혜이자 대안임을 인식하자. 

흔히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 한다. 무엇을 하든지 좋은 계절이지만 특히 마음의 양식을 쌓고 생각의 힘을 키우며 디지털 대문명 시대에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데 독서만 한 게 있으랴. 책 읽는 가정, 학교, 사회, 국가를 만들도록 청소년과 함께 책을 읽는 ‘국민독서운동’을 펼침이 어떻겠는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