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자원순환센터 전경. /사진 = 인천시 제공
송도자원순환센터 전경. /사진 =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송도 자원순환센터에 다이옥신 연속 시료 채취 장치와 상시 체크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계획을 또 미뤘다. 시는 관련 예산을 내년도 본예산안에 반영하지 않았다.

8일 시에 따르면 인천에는 송도·청라 자원순환센터 2곳을 운영 중이다. 이 중 청라 자원순환센터는 지난해부터 시범사업으로 주민수용성을 고려해 다이옥신 연속 시료 장치와 상시 체크 시스템을 설치해 다이옥신 측정값을 시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다이옥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주로 제품 소각 과정에서 발생한다. 국내 다이옥신 배출시설은 생활쓰레기 같은 폐기물 소각시설, 제철·제강·시멘트 생산시설 들이다. 지난해 청라에 시범설치한 다이옥신 연속 시료 채취 장치는 굴뚝으로 배출하는 가스 중 다이옥신 농도를 단기간(최소 2시간)에서 장기간(최대 6주)까지 연속 시료를 채취한다.

송도 자원순환센터 역시 유해물질과 관련해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려고 다이옥신 연속 시료 채취 장치와 상시 체크 시스템을 내년에 설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돌연 설치사업을 중단했다. 송도 자원순환센터가 현대사업을 추진 중인 데다, 다이옥신을 법정 기준치보다 낮게 측정했다는 이유에서다.

시는 현재 소각 용량이 부족해 3곳을 새로 지을 계획이다. 주민 기피시설이어서 신설하는 지역에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자원순환센터 입지 지역에 공사비 20%가량인 300억∼500억 원을 들여 주민이 원하는 문화시설을 설치하고 공원을 조성한다. 또 해마다 주민지원기금 17억∼43억 원과 최대 100억 원가량 반입 협력금을 지원하고, 자원순환센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해 인근 주민에게 전기와 난방을 공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다이옥신 연속 시료 채취 장치 설치 여부와 관계없이 법정 기준치 100분의 1 정도로 엄격하게 관리했기에 청라·송도 모두 안전하다"고 했다.

하민호 기자 hm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