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환자인 사람은 없고 마지막까지 환자인 사람도 없어요. 어떻게 내내 밤만 있겠습니까. 곧 아침도 와요."

최근 공개된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속 의사가 환자에게 한 말이다. 드라마는 우리가 흔히 접하기 어려운 정신병동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았다.

기자 주변만 해도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제법 많다. 그러나 모두 가능하면 숨기려고 노력한다. 부정적인 시선과 편견 때문이지 않을까.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성인 4명 중 1명은 평생 한 번 이상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다. 그만큼 흔하디 흔한 질병 중 하나지만, 아직 차별적인 시선은 존재한다. 정신질환을 앓는 지인들에게 왜 말하기 어려운지 물어봤을 때 돌아오는 답변은 비슷했다. 그들은 ‘정신이 약해서라고 생각해’, ‘의지가 부족해서 못 고치는 거라고 하더라’며 비하하는 듯한 의견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정신질환은 나약하기 때문에,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앓는 질환이 아니다. 누구나 경험할 수 있고, 호르몬 문제 탓에 의지로 해결이 안 되기도 한다.

혐오와 차별이 만연한 요즘,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라는 드라마는 기존 미디어에서 보던 정신질환과는 또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이 드라마로 위로를 받는다는 말도 이런 맥락에서 나오는 듯하다.

드라마에서는 공황, 우울증, 망상, 조현병 같은 다양한 정신질환 환자들이 나오며 주연들도 작고 큰 질환이나 경험을 가진다. 그들이 겪는 삶을 통해 많은 사람이 공감한다. 정신질환을 겪지 않았어도 누구나 공감 가능한 어려움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기자도 근래 버거운 일상에 지쳐 위로를 받고자 이 드라마를 켰다. 주옥같은 대사들이 참 많지만 "정상과 비정상 경계에 있는 경계인들"이라는 말도 참 와 닿는다. 가끔은 정상이기도, 또 가끔은 비정상이기도 한 경계.

기자는 아직 정신질환을 앓아 본 적은 없지만 되도록 마음 건강도 챙기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마음은 몸보다 더 예민하지만 알아차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누구나 아프기도 하기에 마음을 한번 더 챙기는 하루가 되길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