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와우!" 얼마 전 방영했던 인구 위기를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미국의 한 대학교수가 2022년 대한민국 합계출산율 숫자(0.78명)를 듣자마자 머리를 부여잡으며 경악했다. 그 반응은 OECD 평균 합계출산율(1.59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한국의 암담한 현실을 보여준다.

이처럼 한국의 출생률이 세계 최저 수준이며 인구 부족으로 나라가 존폐 위기에 놓인다는 이야기는 어제 오늘의 이슈가 아니다. 그럼에도 사실 인구 문제는 일상을 사는 우리에게 별로 와닿지 않는다. 눈앞에 닥친 현실을 살기 바쁜 지금으로서는 당장 내 일이나 가족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대대적으로 위기라고 하는 이 인구 문제가 대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일까? 

1970년 100만 명에 달했던 한 해 출생아가 2002년에 40만 명대로 내려앉았다. 그리고 20년이 지난 지금, 기성세대 인구의 반도 미치지 못하는 수의 2002년생들이 성인이 되어서 사회로 나오게 된다. 이 책의 저자인 한국일보 창간기획팀은 인구 문제를 취재하며 만난 이 세대를 ‘절반 세대’라고 명명했다. 모든 것이 이전 세대의 기준에서 빚어진 사회, 그 속에서 그 절반의 인구인 지금 세대가 살아가야 할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은 인구 부족이라는 문제가 어떻게 우리 삶을 조금씩 조여오고 있는지 없어지는 학교, 피가 모자라는 병원, 사람이 사라지는 지방 도시 등과 같은 일상적인 영역부터 정치의 보수화와 부동산 폭락이라는 거대한 논의까지 찬찬히 살펴본다. 저출생과 인구 부족이라는 키워드를 다루되, 이것이 우리 모두의 삶과 연결된 문제라는 것을 다방면에서 알려주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중 한 명인 94년생인 최나실 기자는 ‘내 또래 중 ‘아이를 낳고 싶다’고 말하는 이는 별종이다’라고 말한다. 그 이후 세대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통계를 보면 2022년 청년 여성 세 명 중에 두 명(65.0%), 청년 남성은 열 명 중 넷(43.3%)은 결혼을 해도 아이는 필요 없다고 봤다. 

젊은 층의 인구가 반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사실은 지금부터 아이를 많이 낳는다고 해서 결코 바뀌지 않는 이미 확정된 현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정책은 지금 세대에게 아이를 낳으라는 책임을 안겨주는 방식으로 논의되고 있다. 저자들은 인구 위기를 다루는 기획을 준비하며 이 문제를 논의하는 화자(話者) 자체에 오류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고 한다. 문제의 진단부터 해결책까지, 수백조 원을 쏟아붓고도 이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정책을 계속해서 만들고 있는 것은 지금의 기성세대다. 전문가들의 이야기와 진단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미래 세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눈높이에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기획 방향은 바뀌어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청년 세대가, 미래의 목소리로 써 내려간 인구 위기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받아들이지 않아도 축소 사회는 이미 도래했다.  ‘빨리빨리의 민족’은 이제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고 있다. 이 급격한 인구 변화는 경제·사회·복지·교육·국방·이민 문제로 이어지며 결국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의 존재 의의와 정의를 되묻는 시험이 될 것이다. 

출생률을 높이기 위한 장기적 정책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제 인구가 부족하다는 사회적 문제가 어떻게 우리 삶을 서서히 바꿔갈지 짚어볼 차례다. 이 책은 가족, 직장, 연금, 병역 등 지금 우리 사회를 둘러싼 요소와 인구 문제를 연관 지어 현실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절반 세대가 우리 사회에 공통적으로 던지는 질문은 ‘우리 사회가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살 만한 사회인가’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처럼 다양성과 개인의 행복을 존중하지 않는 정책으로 한국 사회가 가진 기존의 낡은 틀을 뜯어고치지 못한다면, 재정적인 지원을 아무리 해준다고 해도 출생률은 올라가지 않을 것은 자명하다 . 

『절반 세대가 온다』는 곧 커다란 현실로 다가올 인구 감소의 충격을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 한국 사회 전반적인 지형도를 보여준다. 다양한 자료와 우리 주변 사람들을 취재한 생생한 사례를 통해 인구 절벽 앞에 선 우리가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절반 세대 

1970년대 100만 명이었던 출생아 수가 2002년 통계집계 사상 처음으로 40만 명대로 감소했다. 2002년에 태어난 그 절반의 인구가 이제 성인이 되어 사회에 나오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이들을 절반 세대라고 부른다.

저자 소개

지은이 한국일보 창간기획팀

"또 아이 낳으라는 얘기야?"

인구 위기 기획을 준비하는 동안 주변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이야기입니다. 저출생 문제를 다룬 그간의 언론 보도가 대개 출산 독려로 끝이 났으니 그럴 만도 합니다. 저희는 그런 뻔한 결론에서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인구 위기 당사자인 청년 세대의 목소리에 주목했고, ‘오늘의 어른도, 내일의 아이도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게 먼저’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 고민의 여정에는 총 27명의 기자가 함께 머리를 맞댔습니다.

강윤주 김경준 김민호 김진영 김진욱 김창훈 류 호박경담 박소영 박은경 박지영 변태섭 손현성 손효숙 신은별 오세운 윤한슬 윤현종 이서희 이윤주 이종구 이혜미 정승임 진달래 최나실 최동순 홍인택 (이상 가나다순)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