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에서 물질적 어려움을 경험한 적 있는 ‘위기가구’ 수가 13만6천310가구로조사됐다.

도내 위기가구 소득은 위기를 겪지 않은 가구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으며, 평균 약 6천700만 원의 부채를 보유했다.

경기복지재단이 최근 발간한 ‘경기도 위기가구 특징 분석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도내에서 경제적 어려움으로 위기를 겪은 가구는 13만6천310가구에 달한다.

도내 전체 가구수 508만6천670가구의 2.7%가 위기가구로, 전국 시도 중에서 가장 낮은 비율이지만 전국 위기가구 83만2천62가구의 16.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도내 위기가구 형태는 한부모가구가 23.5%로 가장 높았으며 장애인가구도 21.6%로 큰 비중이었다. 기준중위소득 기준 저소득가구에서는 1인 노인가구 비율이 높은 게 특징이었으나, 위기상황을 기준으로 보면 한부모가구와 장애인가구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서울시의 높은 집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가구들이 경기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부모가구 역시 늘어나는 추세인데, 이들이 위기가구에 속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상황으로 분석됐다.

도내 위기가구의 경상소득은 3천331만8천 원으로 위기를 경험한 적 없는 일반가구의 경상소득 6천627만6천 원의 절반 수준이었다. 위기를 경험한 가구의 경상소득은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1천214만4천 원에 비해 2.7배(2천117만4천 원),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1천993만3천 원에 비해 1.7배(1천338만5천 원) 많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내 위기가구의 평균 부채는 6천699만1천 원으로 전국 평균 6천569만3천 원을 웃돌았다. 부채의 경우 위기를 경험하지 않은 가구는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1.5배인 데 비해 위기 경험 가구는 2.2배로 나타났다.

재단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한 사례조사에서는 위기 발생 요인으로 ▶소득 상실 ▶건강 악화 ▶강력한 돌봄 필요성 ▶단절과 고립 ▶정신건강 문제 ▶채무로 인한 어려움이 지목됐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