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환 인천시의원  
조성환 인천시의원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본격적인 채비를 마치고 본 무대에 올랐다. 이번 선거 판도는 명확하게 둘로 나뉜다. 윤석열 정부 집권 2년 차에 대한 정책 지지와 공약 심판의 두 갈래다.

알다시피 대통령 지지도는 30%대에 머문다. 반대 여론은 60%대에 이른다. 이런 추세라면 민심은 30대 60으로 나뉘는 게 맞다. 그러나 정치와 선거는 생물이다. 언제 어떤 변수로 민심의 향방을 가를지 모를 일이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총선에서 여당과 야당을 지지한다는 결과가 엇비슷하다. 그만큼 대한민국 사회는 동서로 나뉜 이념의 정서만큼이나 보수와 진보 간 지향점이 너무 다르다.

대통령은 선거법과 무관하게 스무 번 넘게 민생 탐방을 이어 갔다. 그러다가 이른바 대파 사건이 터졌다. 내용인즉 대형마트에서 대파 한 단이 875원인데 이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것. 이후 야당에서는 일제히 대통령이 물가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고 비판을 이어 갔다.

그냥 우스개 농담으로 넘기기엔 민생경제가 너무 힘든 요즘이다. 특히 일반 국민이 가장 쉽게 체감하는 소비자물가가 나 홀로 고공행진이다. 채소 가격이 고기 가격을 넘어섰다는 한탄이 나온다. 농민들은 중간 도매상 때문에 힘들고, 소비자는 치솟는 물가 때문에 고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과실 물가 상승률(40.6%)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보다 37.5%p 높았다. 금사과, 금배, 금딸기, 금바나나가 넘쳐난다. 소비자들은 냉동 과일로 그나마 위로를 받는다.

"사과가 비싸지면 안 먹으면 그만이에요. 그런데 밥이나 반찬은 아니잖아요. 그래서 어떨 때는 김치랑 밥만 먹어요. 김치는 연말에 복지관 같은 곳에서 많이 주니까요. 그러다 그냥 굶어 버리기도 해요. 어차피 몇 끼 안 먹는다고 안 죽어요."(어느 노인의 한탄 중에서)

직장인 점심값도 1만 원을 훌쩍 넘겼다. 대학교에서는 1천 원 밥상이 유행이다. 노숙자를 위한 무료 급식이 노인에게 인기다. 어쩌다가 대한민국 사회가 1980년대로 회귀했을까. 물가 주범은 누구이며, 누구의 책임일까.

바야흐로 기후위기와 자연재난이 이슈로 떠오른다. 앞선 소비자물가 상승도 이런 이유에 기인한다. 그리고 정부의 시대 흐름과 국민 정서를 반영하지 못한 탓도 크다.

이번 총선의 바로미터는 여야 진보와 보수를 떠나 민생경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작금의 대한민국 사회는 총체적 위기와 혼돈이 거듭된다. 부동산 경기,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청년실업, 초저출산, 취약계층 증가, 세수 감소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재앙이 뒤따른다.

국회의원은 지역을 대표하고 민심을 반영한다. 단 한 명의 올바른 국회의원은 지역을 되살리고 사회정의를 바로잡으며 민생경제의 파수꾼 역할을 한다. 이것이 총선을 대하는 유권자의 자세가 아닐까.

내 삶을 바꿀 총선 공약이 넘쳐난다. 유권자가 뽑은 10대 의제를 보면 고물가·고금리 대책 등 민생 안정, 사회적 갈등 완화,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 사회안전망 구축, 지역 균형발전, 저출생과 청년실업 대책, 교육제도 개편, 탄소중립과 의료체계 안정화다.

그동안 유권자들은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선거’가 정치권들의 싸움으로 일관되면서 많이 지쳤다. 이제는 국민이 출제자가 돼 한국 사회의 난제를 풀어가도록 정치권에 일침을 놔야 할 때다.

제22대 총선부터 유권자들이 주인이 돼 내 삶을 바꾸는 나의 선거, 국민의 선거가 돼야 한다. 더 이상 거대 정당의 밥그릇 싸움으로 방치해선 안 된다. 선거는 국민이 가늠하는 결정적 주권임을 잊지 말자.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