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봄철 냉해, 여름철 호우·탄저병 등 재해·병해충 피해로 주요 과일 생산량이 30% 가량 감소하면서 가격 급등세가 올해까지 이어지자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를 포함해 2030년도까지 추진하는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내놨다.

2일 농식품부가 발표한 대책에 따르면 국내 과수 생산액은 2022년 기준 5조8천억 원으로, 전체 농업 생산액에서 10%를 차지한다. 그러나 재해 대응 등 기후변화 준비가 미흡하고 도매시장 유통 비중도 여전히 50% 수준으로 유통 비용 상승, 가격 변동 원인이 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와 식습관 변화 등 소비 추세 변화도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장기대책을 통해 과수산업 정책 패러다임을 기후변화 대응 강화와 소비자 니즈 충족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도 사과 수급 불안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시기별 위험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지난 1월 민관합동 생육관리협의체를 구성, 올해 처음으로 사과, 배 재배지에 냉해 예방약제를 보급하고 미세살수장치, 방상펜 등 예방시설도 지난달까지 설치했다.

또한, 수급 안정용 계약재배 물량을 6만t으로 확대하고 일부 물량은 출하시기 뿐만 아니라 출하처·용도까지 직접 관리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부담없이 국산 과일을 소비하도록 재해·수급 대응 역량 제고, 생산기반 확보 및 생산성 제고, 유통 구조 효율화, 소비자 선택권 다양화 등 4대 핵심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재해예방시설 및 계약재배물량을 확대한다. 사과, 배 기준 현재 재배면적의 1~16% 수준인 냉해·태풍·폭염 등 3대 재해 예방시설의 보급률을 2030년까지 30%로 확충한다.

사과·배 계약재배 물량도 작년 5만t·4만t 수준에서 2030년 생산량의 30% 수준인 15만t, 6만t까지 확대한다. 사과의 경우 물량 확대를 통해 명절 수요의 50%, 평시 수요의 25%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미래 재배적지를 중심으로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은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도 조성한다. 스마트 과수원은 나무 형태·배치를 단순화해 노동력을 절감하고 햇빛 이용률을 높여 생산효율을 극대화한 과수원이다. 20㏊ 규모로 단지화해 2025년 5개소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60개소로 확대한다.

더불어 온라인 도매시장을 활성화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를 늘려 유통단계를 1~2단계 단축, 유통 비용을 10% 절감한다.

이밖에 1인 가구 확대, 다양한 제품 선호 등 소비 추세를 반영해 노란 사과(골든볼), 초록 배(그린시스) 등 신품종 시장도 확대한다.

정일형 기자 ihjung66@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