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실패한 박람회의 대명사였던 하남국제환경박람회에 대한 하남시의 특별감사 결정이 내려졌다. 이 박람회는 시민단체로부터 `밑빠진 독상'을 수상하는 불명예를 안아 예산낭비의 소모적인 행사였음을 단적으로 대변해주고 있다. 또한 선거 때마다 이 박람회망령이 유세장에서 되살아나 이를 유치한 시장과 상대간의 뜨거운 쟁점이 됐으며, 비리의혹사건으로 비화되면서 관계자들이 도마위에 올라 집단 성토의 대상이 됐다. 99년 개최전부터 재단법인설립이 늦춰져 차질을 빚고 폐막후에도 언론으로부터 부실과 무계획적인 운영으로 호된 질책을 받아 국내외로 망신살을 톡톡히 치르기도 했다.
 
136억여원의 적자보전을 위한 예산을 중앙정부로부터 다른 명목으로 지원받았으나 집행을 놓고 시의회와 마찰을 빚다 결국에는 슬그머니 통과돼 빚잔치를 하는 등 마무리 또한 석연찮았다. 이는 3년이 지난 현재까지 백서발간과 정산서를 마무리하지 못한 것만 봐도 여실히 입증된다. 물론 환경박람회개최에 따른 긍정적인 부분이 없지 않으나 실패한 행사로 낙인찍힌 가장 큰 원인은 시민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고 관주도의 일방적인 행사였다는 게 당시 이를 유치한 측도 시인하고 있다.
 
현 이교범 시장은 지난해 선거에서 박람회의혹 규명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새해 벽두에 지시를 내려 특별감사팀을 구성, 지난 6일부터 본격적인 감사에 돌입했다. 감사팀은 효율적인 감사를 위한 업무분장과 연찬 등 전열을 정비하면서 사뭇 전의를 북돋았다. 그러나 소위 `판도라의 상자'로 소문은 났지만 감사원감사와 국정감사에서도 이렇다할 민·형사상의 고의과실을 밝혀내지 못한 전례를 보면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점이 감사팀의 가장 큰 부담이다. 즉 소리만 컸지 감사실적이 빈약할 경우 따가운 시선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고민하는 빛이 역력하다. 이제 시작된 감사를 두고 지적할 것은 당시 시장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박람회에 징발(?)당했던 특정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표적감사로 몰아간다면 공직사회의 안정성을 해하는 위험한 발상이라는 점이다. 물론 귀책사유가 있다면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것은 마땅하다. 부디 이번 감사가 시장공약의 이행, 때만 되면 나타나는 박람회 망령을 죽이기 위한 요식행위, 더 이상의 문제제기를 막기 위한 수박겉핥기식의 감사가 되지 않길 바라는 시민들의 기대가 물거품이 돼서는 결코 안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