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

 

전국 고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어제 경기도교육청 주관으로 실시됐다. 시험은 대입수능과 동일한 방식으로 치러졌으며, 시험결과는 진로·진학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각 학생 및 학교에 통보된다고 한다. 이처럼 고교생들을 대상으로하는 학력평가는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는데 반해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국가차원에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획일적인 평준화에 연연할 것이 아니라 학교 간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을 과감하게 도입해야 한다. 학생 개개인의 개성을 살리고 특기, 적성에 맞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분석검토해 볼 일이다.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해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학업성취도 평가방식도 표집평가가 아닌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해야 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학교의 수준이 밝혀질 것이고 그에 따른 책임 소재를 밝히는 한편, 상응하는 지원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교육수요자 대부분이 학업성취도 평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고, 교사들도 대부분 평가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음은 잘 알려진 바로 교육당국의 심도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과거 지식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해 개성을 살린 특기적성교육을 강조하지만, 현실에서는 특기적성 개발도 안되고 학력도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 적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특기적성을 발굴해 낼 수는 있으나 지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은 당초 학교에서의 교육은 지식교육이라는 점이다. 오늘날 우리 교실이 황폐해진 이유도 제대로 지식교육을 하지 못한 데 있다. 일부는 학업성취도 평가로 학생들을 서열화하는 것이 인성교육에 나쁘다고 하나, 지적호기심이 높은 사람일수록 도리어 인성이 풍부하고 정서적인 면도 강하다는 게 지도교사 대부분의 의견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학생들이 과연 어떤 수준에 올라와 있나 하는 평가는 국가의 의무이다. 따라서 학력저하에 따른 경쟁력 상실을 막기 위한 국가차원의 학력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개개인에 대한 학력향상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