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한국의 먹을거리를 책임질 '차세대 성장 동력 10대 과제'에는 BT, IT 등 우리가 강점을 내세울 수 있는 과제가 망라되어 있다. 여기에는 물론 '미래형 자동차'가 포함돼 있는 것은 물론이다. 우리의 자동차 역사가 비록 30여년이라는 짧은 역사에 불과하지만 어느덧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기술력을 보유하게 됐으며, 자동차 수출을 통해 우리의 삶을 지탱하는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굳이 부족한 점을 찾는다면 아직 미래형 첨단 자동차 기술의 노하우를 선진국에 비해 덜 갖추고 있다는 부분일 것이다.
 
앞으로 20~30년을 책임질 핵심 하이브리드 부품은 물론이고 42[V] 전원시스템, 고연비 저배기 엔진 기술, 첨단 배기처리 시스템, 무단 변속기, 7~8단 자동 변속기 등 아직 우리가 넘어야 할 산은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급변하는 세계의 흐름을 얼마나 조속히 파악하느냐가 관건인 만큼 능동적인 조직체계와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진입이 가능하다는 것을 항상 인지해야 한다. 더욱이 최근 세계 1, 2위 자동차 메이커인 GM과 포드가 방만한 조직 및 세계적 흐름에 뒤쳐지면서 위기가 닥쳐오는 것을 보면 숨을 들이킬 만한 여유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지금 우리의 현황과 만족을 즐길만한 여유가 없음을 다시 한번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은 필연적이며, 정부 및 기업 차원에서, 아니 산·학·연·관의 차원에서 총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을 느끼는 것은 '미래형 이륜차'는 없다는 것이다. 수년 전부터 진행되어 천문학적인 지원의 미래형 자동차를 개발하면서도 미래형 이륜차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음은 아이러니한 일이기도 하다.
 
국내의 이륜차 문화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팽배되어 있어 IMF 이전에 비해 약 40% 수준의 규모로 전락했다. 국내 이륜차는 약 170만 대가 등록되어 있고 미등록 상태로 운영되는 이륜차도 약 50만~100만 대 정도로 추산된다. 길거리에 운행되는 차량 중 약 7대 중 1대가 이륜차임을 알 수 있다. 이미 제 2의 교통수단으로서,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 자동차와 함께 역할 분담을 톡톡히 하고 있음에도 이륜차에 대한 개발 및 지원을 전혀 고려치 않고 있는 것은 무책임을 떠나 방관 자체라 할 수 있다. 일본, 유럽 등 선진 외국에서는 자동차를 개발하고 지원할 경우 필히 이륜차도 일부분 포함되어 동시 개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터쇼라도 있으면 일반 미래형 컨셉트카 옆에 미래형 첨단 이륜차도 함께 전시되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세계의 환경 규제가 까다로워지면서 자동차의 배기가스 규제도 엄격해지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이륜차까지 오고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국가적인 차원의 지원 및 제도의 정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움직임은 전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른바 전문가가 없다는 것이다. 국내 이륜차 산업 및 문화적 척도는 대표적인 후진형이어서 이륜차 관련 법규 및 제도, 사회적 인프라 등은 물론이고 국민적 인식도 백지상태이거나 부정 그 자체이다. 이러한 상태로 몇 년 더 흘러간다면 우리의 이륜차 시장 및 문화는 존재치 않을 것이라 단언한다. 외국산 하이브리드 이륜차, 전기 이륜차, 연료전지 이륜차 등 첨단 이륜차가 우리의 시장을 점령하고 우리의 구석구석을 누빌 것이라 확신한다. 당연히 우리 국산 이륜차 산업은 고사할 것이다. 이제라도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무엇이 문제인지 무엇을 지원해야 할지 '특별위원회'라도 구성해 정리해 보자. 정부의 그 많은 할 일 없는 위원회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낳으리라 확신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