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

 

사교육 대체를 위해 도입된 ‘방과후 학교제도’ 가 파행운영 되는 등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이 방과후 학교운영의 안정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교육정책토론회를 열고 개선을 모색하고 나선 것은 의미있는 일로 여겨진다. 방과후 학교제도 도입의 당초 취지는 학부모에게 지나치게 부담이 되고 있는 사교육비를 덜어주고 교육의 중심축을 학원에서 학교로 되돌려 놓기 위한 방안의 하나였다. 교육당국은 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방과후 학교의 비교과 영역 활동을 학생부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 진단과 처방을 마련하기는 했으나 상당부분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시행과정에서 논란이 적지 않았던 것 또한 사실이다.

방과후 학교제도가 일선 초·중학교에는 어느 정도 사교육을 대체하는 효과를 가져 온 것이 사실이다. 수강료가 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원의 절반 정도의 수준으로 저렴한 데다 저소득층 학생의 경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교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 상당수 학생들이 기존에 다니던 학원을 중단하고 방과후 학교에 참여해 사교육비를 절감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학교 실정에 따른 프로그램의 탄력적 조정으로 토요일과 방학 중에도 운영할 수 있도록 해 참여도도 높이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고등학교에서의 사교육 수요는 초·중학교와는 본질이 다르다. 고교에서의 사교육 수요는 바로 대학입시와 연결돼 있어 더 나은 대학에 진학하려는 치열한 입시 경쟁 구도 하에서 입시와 관련이 없는 방과후 학교는 외면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다양한 소질 개발을 위해 들여온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이 실패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사교육 수요가 입시와 관련된 교과에 몰려 있는데, 비교과 영역 활동을 학생부에 기록해 사교육을 잡겠다는 것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방과후 교육이 사교육과의 경쟁에서의 우위를 점하려면 학원과 같이 맞춤형 서비스를 할 수 있어야 교육수요자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고 또 그래야 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강사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함은 물론이다. 결국 방과후 학교 운영의 성공여부는 학교가 공급자 중심의 사고를 버리고,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 중심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운영될 때에 가능해 질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