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

 

5·31 지방선거의 후보자 등록이 끝남에 따라 13일간의 공식선거운동에 돌입했다. 앞으로 4년간 풀뿌리 민주주의를 이끌 경기지역 광역 및 기초 단체장과 의원 등 568명을 뽑는 이번 선거는 내년도 대선의 향방도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투표 연령이 19살로 낮아지고, 영구체류 자격을 얻은 뒤 3년이 지난 외국인에게도 선거권이 주어지는 첫 전국 선거인데다 기초의원에 대해서도 정당 공천이 확대됐으며, 이번에 당선된 지방의원에 대해서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매달 고정적인 액수의 급여가 제공된다는 사실은 적지 않은 의미와 함께 풀뿌리 민주주의의 상당한 변화도 예상된다.
 
이번 지방선거는 특이하게 투표용지에 6번을 찍도록 돼있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자기 지역에 누가 출마했는지조차 알지 못하는 유권자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선거 관계자들의 말이다. 정치에 대한 무관심과 불신, 뻔할 것 같은 선거결과, 공천과정의 각종 잡음 등 여러가지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유권자의 반응이 이렇게 썰렁한 것은 지방자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져 참으로 안타깝다.
 
지방선거의 주역은 해당 지역 유권자이고, 선거의 성공은 유권자의 적극적인 참여에 달려 있다. 투표일까지 남은 2주간 유권자는 더 이상 선거에 무관심해서는 안된다. 신문, TV토론, 각 가정에 발송될 선거 공보 등 여러 매체를 통해 눈을 부릅뜨고 후보자의 면면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누가 우리 지역을 발전시킬 능력과 자질을 갖춘 적임자인가를 가려내야 한다. 몰표식 투표를 한다던가, 기권으로는 자기 지역의 발전을 바랄 수 없다.이번 선거에도 사기 절도 방화 등 파렴치범 전과가 있거나 세금 낸 기록이 없고, 석연치 않은 이유로 자신이나 아들의 병역이 면제된 인사들이 줄줄이 후보등록을 했다는데 유권자를 얕보는 행위가 아닐 수 없다.선거를 외면하면서 지방자치가 잘 되기를 바라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다. 올바른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는 피해는 결국 유권자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게 마련이다. 지역 발전과 참된 민주주의는 선거 참여를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방정부의 혁신과 지역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형 지방정치 지도자를 찾아내야 한다. 누가 당선돼도 그만이라고 팽개치는 것은 지방화시대의 포기다. 이번에 반드시 유권자 혁명을 이뤄내자.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