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

 

2개 이상의 자치단체 생활쓰레기를 한데 모아 처리하는 경기도의 광역소각장 건설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니 모처럼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쓰레기 소각장은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나 님비현상이 만연되면서 혐오시설로 인식돼 사업 자체가 표류되기 일쑤였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경기도의 순탄한 사업진행은 평가받아 마땅하다. 그 동안 한 곳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하기 위해서도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번번이 발목을 잡히기 일쑤였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그런데 경기도는 이번에 한 곳도 아니고 각 권역별 동시착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니 사업추진을 위해 역량을 결집한 주민들의 선진시민의식이 돋보였다는 데 모두의 관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경기도는 지난해 10월 이천에 동부권 5개 시·군의 생활쓰레기를 모아 처리하는 동부권 광역자원회수시설을 착공한 데 이어 오는 9월과 11월 북부권과 화성권 광역자원회수시설을 잇따라 착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들 시설이 모두 가동되면 경기도의 광역소각장은 현재 가동 중인 광명권, 구리권, 파주권, 과천권 등을 합쳐 모두 7곳으로 늘어나 앞으로 쓰레기처리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더욱 돋보이는 것은 이 시설들이 단순 쓰레기 처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소각장 주변에 수영장과 헬스장 등을 갖춘 주민편익시설과 함께 야외에는 축구장, 테니스장 등 체육시설이 건설된다니 고무적이기까지 하다.

당초 경기도는 지난 1995년부터 `1시·군 1소각장'을 추진했으나 막대한 건설비와 인근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어왔다. 결국 비용도 적게 들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광역화사업을 추진하게 됐고 시설이 들어설 마을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합의를 도출해 냈다. 게다가 이 쓰레기 소각시설에는 재활용 선별장을 함께 갖추게 되며 소각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해 생산한 전력은 한전에 판매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는 그 동안 인식된 혐오시설을 이용해 생산을 극대화하고 친환경적으로 운영해 말 그대로 주민과 관계당국이 서로 윈-윈 할 수 있어 모범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경기도의 사례가 생떼에 가까운 이기주의의 청산과 함께 진정 국가와 국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대안마련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