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해수부가 마련한 인천항 종합발전계획은 인천시로서는 매우 의미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항만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이라기 보다는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 단위의 사업이기 때문이다.
 
인천항 인근 지역이 송도지구와 영종·용유, 청라지구 등 경제자유구역과 인접해 있어 종합적인 개발계획이 반드시 필요했다. 시는 해수부가 제시한 인천항 발전계획에 맞춰 인천 전 지역에 대한 큰 틀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보는 인천항 기능정립에 이어 항만배후단지 및 자유무역지역, 친수시설 계획 등 모두 2회에 걸쳐 인천항 종합발전계획을 게재한다.
 
◇인천항 부두기능 정립
 
▶내항 및 북항 = 인천항 내항은 크게 1부두에서 8부두까지 모두 8개 부두로 형성돼 있다. 그러나 내항은 특화되지 않은 채 청정화물을 처리하는 컨테이너 부두와 원목과 잡화, 양곡 등 비가공성 화물이 혼재돼 처리된다.
 
이로 인해 인천 내항은 운용의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따라서 해수부는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내항 컨테이너 부두를 오는 2015년까지 외항으로 이전하고 사료부원료 부두는 북항으로 이전할 것으로 제시했다.
 
특히 크루즈 부두로 활용될 것으로 보이는 8부두는 남항 국제여객부두가 완공될 경우 이 곳으로 통합 운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해수부는 이어 오는 2015년까지 인천항에 일반잡화부두 30개 선석과 양곡부두 6개, 철재와 자동차, 목재부두에 각각 3개 선석, 관공선 부두 2개 선석 등 모두 47개 선석을 조성해야 할 것을 제시했다. 남항이 이 같은 규모로 조성될 경우 하역 능력은 4천162만6천TEU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 북항의 경우 모래부두를 거첨도 지역으로 이전하고 북항에 있는 조선단지 역시 거첨도 북측에 집단화 시켜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게 되면 오는 2011년에는 현재 18개 부두에서 처리하던 1천726만4천 t 의 하역능력은 17개 부두로 줄어들고 하역능력 역시 1천515만7천 t 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등 부두의 역할이 분산될 것으로 보인다.
 
▶남항과 연안항 = 고질적인 주민 민원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는 모래부두는 거첨도로 이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된 반면 석탄부두는 타 지역의 수용여부를 보고 이전을 추진해야 할 것을 제시했다.
 
특히 내항과 연안항 국제여객부두를 통합해 남항에 국제여객부두를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 남항은 잡화와 시멘트, 석탄, 컨테이너, 모래 등 14개 선석에서 2천163만3천600 t 을 처리하고 있으나 오는 2011년 기준 모래부두를 제외한 14개 선석에서 149만 t 만 처리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안항의 경우 보안항구로 지정된 해군 및 해경부두는 어선부두로 기능을 재정립하고 연안여객부두를 확장하는 한편 내항 야적장은 제5부두와 연계된 야적장 확장으로 재정립할 것을 제안했다.
 
▶신항 = 지난 2001년 마련된 신항의 규모는 잡화 28개 선석(하역능력, 1천617만3천톤)과 컨테이너 6개 선석(하역능력, 83만5천TEU) 등 모두 34개 선석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이를 놓고 시와 해수부는 자신의 주장을 제시하며 마찰을 빚어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해수부가 내세운 신항 종합발전계획을 보면 오는 2015년 기준으로 잡화 4개 선석(하역능력 252만4천 t ), 컨테이너 13개 선석(240만TEU) 등 모두 17개 선석을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해수부는 이어 오는 2020년에는 13개 선석을 추가로 확보할 것을 주장했다.
 
특히 신항 개발과 관련, 신항 수심을 -16m로 조성하고 8천TEU급 대형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조성할 것을 제안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어 해수부는 신항 개발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배후단지를 616만1천 t 를 확보하는 한편 400m의 경계완충지를 조성해 도심 기능과 분리해야 할 것을 요구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