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대통령 선거가 22일로 꼭 300일 앞으로 다가왔다.

 16대 대선이 실시된 2002년 이날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의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국민경선 후보 등록이 시작돼 본격적인 대선전의 개막을 알렸지만, 5년 후 지금은 여권에 뚜렷한 후보군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의 독주체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같은 정치권의 상황을 감안할 때 올해 대선에서 여야 후보의 확정 시점은 예년보다 훨씬 늦어져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선거일정 = 올해 대선 일정은 선거일 250일 전인 오는 4월 13일 중앙선관위가 대선 선거비용 제한액을 공고하는 것으로 시작되고, 그로부터 열흘 후 예비후보자 등록이 이뤄진다.

 예비후보자로 등록하면 선거사무소 설치, 명함 배부, e-메일을 통한 동영상과 홍보물 발송 등 제한된 범위에서 선거운동을 벌일 수 있다.

 후보자 등록은 선거 24일 전인 11월 25일부터 이틀간 이뤄지며, 등록을 마친 후보자들은 11월 27일부터 22일간 공식적인 선거운동을 벌이게 된다.

 군인, 경찰, 선거관리요원, 환자 등을 대상으로 한 부재자 투표는 12월 13~14일 전국에 설치될 부재자투표소에서 실시되고, 17대 대선의 본 투표는 12월 19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2시간 동안 진행된다.

 선관위는 선거 28일 전인 11월 21일부터 선거인명부 작성에 들어가 선거 7일 전인 12월 12일까지 선거인명부를 확정할 방침이다.

 선관위는 선거 90일 전인 오는 9월 20일부터 선거일까지 의정보고 활동을 금지하고, 10월 20일부터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한 감시활동에 돌입하는 등 공식적인 선거관리 활동에 들어가지만, 이미 지난해 말부터 팬클럽, 인터넷 등을 이용한 불법선거 감시활동에 착수했다.

 ▶전망 = 확실한 대선주자군이 부각되지 않고 있는 범여권은 열린우리당,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 등 분화된 여당 세력과 민주당이 각개약진하면서 새 판짜기에 주력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공식 대선후보가 출현하는 시점은 한나라당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우리당 정동영·김근태 전 의장, 한명숙 총리, 민생정치모임 천정배 의원 등 여권의 예비주자들의 지지율이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고,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등 외부 주자들의 합류 여부는 통합신당의 틀이 짜여진 다음에야 판가름날 것이기 때문이다.

 범여권의 통합신당 추진 작업이 주도권 다툼 등으로 인해 끝내 성사되지 못할 경우 제 정파가 개별적으로 후보를 낸 뒤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서 후보단일화 등을 통해 본선을 치를 수도 있다.

 한나라당은 지지율이 50%대에 육박하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20% 안팎의 탄탄한 지지층을 지닌 박근혜 전 대표라는 양대 주자에 손학규 전 경기지사라는 다크호스까지 갖추고 있지만, 최근 이 전 시장에 대한 `검증 공방'에서 나타난 것처럼 분열 가능성이 최대 변수다.

 이 때문에 한나라당 경선준비위는 경선전 이탈 등을 통한 당 분열을 막기 위해 이르면 내달 경선후보 조기 등록을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현행 한나라당 당헌·당규는 대선 180일 전인 6월 중순 대선후보 경선을 실시하고, 그 2개월 전인 4월 중순에 후보등록을 하게 돼 있다.

 대선후보 경선 시기는 이 전 시장 측이 당헌·당규대로 `6월 실시'를 주장하고 있으나, 박 전 대표 측은 8, 9월로 미루자는 입장이어서 유동적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