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탄 숭례문의 참담한 형해를 보며 국상을 당한 듯 국민 애도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모든 것이 하루가 다르게 바뀐 서울 한복판에서 숭례문은 600여 년 세월을 본래 모습 그대로 서 있었으며 그것은 단순한 목조 건축물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이며 뿌리이고 한국 문화의 정체성 그 자체였다.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6·25라는 혹독한 전쟁의 참화도 비켜간 숭례문이, 반사회적인 한 사람에 의해 속절없이 불타버렸다. 그러나 온전히 그 한 사람의 잘못으로 돌릴 수만도 없다. 앞만 보고 달리느라 소중한 가치를 소홀히 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귀중한 문화유산을 ‘노숙자의 쉼터’로 방치하고 야간에 경비원 한 사람도 두지 않는 경박한 문화 의식이 숭례문을 불태웠다. 물질적 가치에 치우쳐 정신의 산물인 문화를 돌보지 않은 데 따른 혹독한 대가를 치른 것이다.

숭례문 복원 비용의 모금 방법에 대해서 이 시점에 운운하는 것은 이번 참화의 본질을 직시하지 못하는 논란이다. 우리 경제 규모에 비추어 복원 비용은 큰 부담이 아닐 것이다. 게다가 안타까운 마음에서 수천만 원 또는 수억 원씩 성금을 내는 기업들도 있고, 어떤 기업은 사회 환원 차원에서 모든 복구비용을 혼자 부담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하기도 한다니 말이다. 
많은 예산을 들여 숭례문을 복원한다고 해서 600여 년 전 조상들의 혼이 담긴 숭례문이 되살아날 수는 없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지금 이 시대에 사는 우리의 혼을 담아서 후손들이 자랑스러워 할 숭례문을 재창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숭례문 화재와 복원작업은 우리가 문화의 소중함을 새롭게 재인식함으로써 문화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