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

   경기도가 대대적으로 홍보한 한 제과업체와의 경기米떡 판매가 테스트 단계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과장홍보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은 전시행정의 한 단면이지나 않은지 염려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본보에서 스타벅스 경기米떡 판매에 대해 부진함을 지적하자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는 등 판매효과를 나타냈다’고 에둘러댔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니 애써 변명에 급급한 당국의 입장을 이해하기 힘들다. 경기도가 새로운 판매처로 내세운 제과업체 측이 “당초 지난해 11월께부터 경기米떡을 일부 매장에서 테스트했지만 몇몇 곳은 테스트를 포기해 현재는 본격판매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주기 어렵다”고 말했다니 기가 막일 노릇이다.

돌이켜 보면 경기도는 지난해 한·미FTA 협약 이후 도내 쌀산업 확대 및 떡 산업 육성을 위한다며 경기米떡을 개발, (주)스타벅스를 통해 지난해 4월 시판에 나섰고 고객들의 반응이 좋을 경우 국내 전 지점은 물론, 전 세계 1만3천여 개의 지점으로 확대한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지난해 10월 수도권 50개 지점으로 판매망을 확대했다. 이 같은 상황에선 대단한 성공작이라 평가받을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판매량이 급감해 하루 평균 점포당 3개를 유통시키고 있고 월 4천500여 개씩 5개월 동안 고작 2만7천여 개를 유통하는 실적을 보였다는 것이다. 경기도가 부랴부랴 가격을 대폭 인하하는 대응책을 내놨지만 소비자들은 선택을 주저하고 있으니 답답하다.

상황이 여의치 않음이 알려지자 경기도의 타깃마케팅과 홍보마인드에 대한 지적이 줄잇고 있음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떡 산업 활로모색을 위해 신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좋지만 빵집에서 떡을 파는 역발상은 이해를 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성과에 집착해 사실을 부풀리고 왜곡하는 태도는 공공기관의 홍보마인드를 벗어나는 것이란 지적도 있다. 급기야 경기도의회가 사업추진 과정에 대해 진상조사특위를 구성해 진위여부를 가리고 추진과정과 결과에 대해 책임소재를 따지겠다고 나설 형국이다. 스타벅스 경기米떡은 지난해 경기도 우수시책으로 선정돼 성과시상금을 받기도 했다. 이제라도 철저한 진상파악과 판매부진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해 소기의 목적에 걸맞는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 늦었다고 판단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격언을 명심하길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