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

최근 인천신항만개발과 관련, 인천시를 비롯해 지역단체 협의회 등이 나서 조기개항을 위한 당위성 및 지역의 역할방안 등의 논의가 한창이다. 여기에다 내항재개발 방안에 따른 항만친수공간 포럼까지 인천지역을 벗어난 서울지역에서까지 이어지면서 인천지역은 오는 2020년까지 컨테이너부두를 포함한 총 30선석 규모의 인천신항만개발 사업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해양수산부 시절 6년이 지나고 장관이 4차례 바뀌면서까지 인천신항만을 적기에 건설하겠다고 약속만 할 뿐 착공일정을 지키지 못하고 예비타당성 검증에 대한 재검증, 전국항만물동량 예측에 대한 정밀분석 등의 이유를 내세우면서 시간을 허비하는 중앙정부의 무책임한 약속위반으로 착공이 사실상 물 건너가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지역 내에 팽배하던 때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다.

인천항은 지리적 특성상 수도권의 관문항으로 배후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화물량과 중국과의 교역량 증가로 컨테이너 화물처리량이 연평균 19% 이상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컨테이너 165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의 물동량을 처리해 3년 연속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 1위를 차지하면서 올해도 수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항은 현재 10m에 달하는 조수간만의 차로 대형 선박의 상시 입출항 불편과 항만시설 부족, 갑문 통과에 따른 운영 효율성 저하로 연간 3천억 원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인천신항개발사업은 오는 2011년까지 총 1조7천600여억 원을 투자해 컨테이너 부두 등 9선석을 개발하고 오는 2015년까지 8선석, 2020년 13선석을 더해 총 30선석 규모의 대형 항만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프라구축에 따른 배후부지 및 도로확보에 따른 정부 지원과 인천시의 적극적인 동참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또 인천 내항의 기능 재배치가 우선시 돼야 하며 생산성에 따른 선사가 원하는 부두가 조성돼야 할 것이다. 이제 인천신항개발은 헛구호에 그치지 말고 직·간접적인 고용창출과 사업기회제공 등으로 도시와 지역에 경제적 이익을 위해 항만개발, 항만세일즈, 운송인프라 제공 등 항만활성화를 위한 논의와 노력이 무엇보다 절절히 필요한 시점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