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침체로 서민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는 가운데도 새해 벽두부터 생필품값이 줄줄이 인상된 데 이어 중고생 교복값이 크게 올라 학부모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서울 교복업체에 이어 경기도내 중소 업체들도 일제히 학생 교복값을 인상하기 때문에 학부모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19일 도내 교복업체 등에 따르면 국내 교복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S사와 E사 등 대형 업체들이 새학기 교복값(동복 기준)을 지난해보다 3만∼5만 원이 오른 27만5천∼27만9천 원으로 책정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메이저 교복 업체별 인상률은 최저 5%에서 최고 15%로 나타났으며, 이들을 제외한 중소 업체 인상률은 15~18%로 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도내 중소 교복업체들도 올해 교복값을 지난해보다 3만 원 가량 오른 18만∼20만 원으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가격 인상은 원자재 가격 폭등과 유명 스포츠 선수와 인기 연예인 등 아이돌 스타를 광고에 출연시키며 수억 원의 마케팅 비용을 쓰고 있기 때문이라고 업체 관계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이들 메이저 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85%에 달한 가운데 2개 회사의 경우 지난 2006년 11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정조치를 받은 후 향후 3년간 교복 가격을 동결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어겼다는 점에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학부모들은 교복업체가 과도한 스타 마케팅으로 인한 비용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학부모들은 정부가 교복 공동구매 지침을 폐지하면서 사실상 대형 교복업체들에 대한 견제장치가 없어졌다는 점도 문제 삼고 있다.

한 학부모는 “올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자녀들 교복값으로 60만 원이 넘는 돈을 지출해야 할 판”이라며 “대형 교복업체들이 제조원가를 공개하지 않은 채 교복값을 인상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가격 거품을 빼기 위해 교복 공동구매를 하면 학생과 학부모들은 10만 원 가량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고 실제 지난해 교복 공동구매를 통해 판매가격의 적게는 30%에서 많게는 60% 수준의 교복 구매가 가능했다.

특히 교복 구매와 관련, 교육과학기술부는 공동구매 적극 권장 지침을 올해는 사실상 폐지하고 학교 자율에 맡긴다는 방침이어서 학부모들이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내 학부모들은 “지난해 업체별로 교복값이 2만 원 가량 차이를 보인 데 반해 올해는 27만 원 수준으로 거의 동일한 실정”이라며 “가격 담합에 의한 처사로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