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추진한 구획정리사업 때문에 주택가가 폐허 더미로 전락했는데도 이를 40년 가까이 방치해 놓고
   
 
있다면 누군가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닙니까. 사람이 살 수 없는 흉가 밀집지역을 그대로 놔둘 수는 없습니다. 이제라도 인천시가 나서서 바로잡아 줘야 마땅합니다.”
지난해 3월 163회 임시회는 제5대 인천시의회 문교사회위원으로 활동 중인 정종섭 의원의 시정질문으로 숙연해졌다.
진입도로도 없고 증·개축도 할 수 없는 서림초등학교 뒤편(인천시 동구 송림동 125-1번지 일원) 주택가 현실이 알려지자 시의원이나 시 관계자 모두 할말을 잃었기 때문.
사연인즉슨 이렇다. 이 일대의 경우 지난 1962년부터 1970년까지 8년여간 구획정리사업을 시행했으나 감보율이 30%였음에도 불구하고 진입도로가 없는 데다 토지(3개 필지)마저 65명 공동 명의로 묶여 있어 비가 새도 손댈 수 없는 등 사업 이전보다 더욱 낙후됐다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이날 시정질문을 통해 “당시 구획정리사업 추진 시 환지처분을 잘못해 40~50년 된 주택 대부분이 흉가로 전락한 만큼 시가 어떤 형태로든 책임져야 하며 그것도 조속한 시일 내 해결해줘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문했다.
정 의원의 능력은 이때부터 빛나기 시작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와 동구청 등 관계 기관 회의를 주선하고 관련 공무원들과 현장을 답사하는 등 해결책 찾기에 고심한 흔적이 즐비한 것. 그리고 주민들은 정 의원의 이 같은 열정 덕분에 그 동안의 설움을 단박에 보상받았다.
지난해 말 동구청이 이 지역을 도시계획시설(주차장)로 결정하고 인천시도 올 3월 도시개발특별회계에서 보상비 66억4천만 원을 확보해 사업비를 지원키로 결정한 것이다.
이는 시의원 한 사람의 역할이 시 정책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제대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는 게 인천시 관계자들의 평가다.
큰 그림을 그리면서 자칫 빠졌거나 소홀히 다뤘던 지역 구석구석을 파악, 이를 바로잡는 일은 결코 쉬운 것도, 생색낼 일도 아니지만 누군가는 반드시 챙겨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당사자인 정 의원은 “국제도시를 지향하고 있는 인천의 경우 신도시가 최첨단 유비쿼터스 기술로 조성돼 자태를 뽐낼수록 구도심으로 전락한 다른 한쪽의 주거환경은 뒤처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 누군가가 앞장서야 한다면 그 역할이야말로 시의원이 제격 아니냐”고 반문하고 있다.
정 의원의 발길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지난해 인천YMCA가 우수의원 베스트 10에 선정할 정도로 동구 송림1~3구역, 송림초교 주변 등 도시재생사업과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장 구석구석에서 그를 볼 수 있으며, 관내 학교 다목적강당, 실내야구연습장, 인조잔디구장 조성에도 앞장서는 등 남다른 지역 사랑에 쉴 틈이 없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