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개요>
 1) 원 정 대 : 2004년도 인천대학교 산악부 아콩카구아 원정대
 2) 대상지   : 아콩카구아(6천962m),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 안데스산맥 북면 노멀루트
 3) 대  원   : 김광준(대장, 토목 82), 이원록(건축 86), 이승호(토목 96), 백영기(무역 99)
              김종호(경영 01), 김동언(토목 01)
 4) 기  간   : 2004년 12월 19일~2005년 1월 7일 (20일간)
 5) 등반목적 : 인천대학교 산악부 세계 7대륙 최고봉 등정 중 남미 최고봉 등정
 6) 원정성과 : 김광준, 이원록, 김종호, 김동언 대원 4명 정상 등정
              자체적인 행정 준비를 통한 성공적인 원정 

 

▲ 이원록(건축공학과 86학번, 인천대 산악부 총무)

 1) 이   름  : 이원록(건축공학과 86학번, 인천대 산악부 총무)
 2) 직   업  : 건축물 구조 설계, 센구조연구소 소장, 건축구조기술사, 인하대 강사
 3) 연 락 처 : ☎010-9049-1053, 2629-3120, i1530@naver.com

 <감수>
 박정동 인천대 중국학연구소 소장

# 어느 산으로 갈 것인가?

7대륙 세계 최고봉 중 두 번째인 엘브루즈 등반 후 나도 어딘가를 오르고 싶다. 하지만 어디를 올라야 하나? 1년 정도 노력해서 오를 수 있으며 회사에서 휴가를 이용해 갈 수 있는 곳은 어디인가?

   
 

남미의 최고봉 아콩카구아! 아콩카구아는 지구상에서 제일 먼 곳, 한국에서 지구의 중심을 관통해 가면 나오는 곳에 있다. 그래서 시차도 12시간 차이가 나고 계절도 정반대여서 우리나라의 겨울이 한창인 1월 초가 그곳은 여름으로 등반의 적기다.

남미의 안데스산맥! 세계에서 제일 큰 산맥, 영화 ‘Alive’와 ‘친구의 자일을 끊어라’의 실제 사건이 발생한 곳이다. ‘Alive’는 내가 가야 할 칠레의 산티아고와 아르헨티나의 멘도사를 오가는 노선에서 발생한 실화를 영화화한 것이다. 안데스산맥의 최고봉인 아콩카구아 산이 너무 높아 우회해 상대적으로 낮은 고개를 넘다가 비행기가 산속에 추락하자 살아남은 자들이 몇 달을 인육으로 연명하며 살아남기 위해 극한의 선택을 하는 생존기록이다. ‘친구의 자일을 끊어라’는 두 명의 자일 파트너가 정상을 오르고 하산하다 한 명이 추락한 후 다리가 부러져서 혼자라도 살아

   
 
남기 위해 친구의 자일을 끊었으나 기적적으로 둘 다 살아남은 내용이다. 두 영화, 아니 두 사건 모두 산을 오르는 과정이 아닌 안전하게 내려오는 내용을 담는다.
등산은 안전하게 집까지 돌아와야 마무리된다. 그러나 돌아오기 전에 반드시 올라야 할 산이 있기에 등산은 매력적이다. 내가 오를 산을 정하고 그곳을 오를 생각을 하니 가슴이 설레인다. 내 인생의 첫 원정. 열심히 노력해야 오를 수 있는 산. 고도 7천m에서 38m가 모자라는 남미의 최고봉. 나는 그곳에 오르고 잠시 정상에 섰다가 다시 돌아오리라. 그리고 1년을 준비하며 내 인생의 화려한 날들이 지나간다.

 #  지구상에서 제일 먼 곳으로 가는 길

1년간의 준비를 뒤로 하고 본격적인 산행을 위해 2004년 12월 20일 드디어 비행기에 몸을 맡긴다. 인천에

   
 
서 프랑크푸르트~마드리드~산티아고를 거쳐 등반의 기점인 아르헨티나의 멘도사까지 3개국을 경유하며 총 30시간에 걸친 비행으로 지구 반대편에 이른다.
멘도사에 도착해 보니 6명의 대원과 함께 날아간 6개의 카고백에 낯선 카고백 하나가 추가돼 있다. 함께 출국한 남미 파타고니아 등반대의 장비로 가득 찬 카고백 하나가 우리와 함께 온 것이다.
그들의 세 번째 도전은 이렇게 쉽게 실패로 귀결된다.
작은 실수 하나가 이렇게 성공과 실패를 가른다. 등반의 모든 것을 세심하게 준비해야 하는데 우리팀과 같이 모든 행정과 등반을 팀 내에서 해결해야 하는 팀은 더욱 그러하다.
와인의 도시 멘도사에 도착해 분주하게 하루를 보낸다. 식량 구입, 장비 준비, 차량 섭외, 입산 허가 신청 그리고 행정적인 업무들. 이 모든 것이 팀워크와 철저한 준비로 일사천리 진행되고 다음 날 멘도사에서
   
 
차로 6시간 거리의 산 아래로 향한다.
드넓고 황량한 낯선 대지를 향해 서서히 고도를 높여 간다. 저녁이 되니 하늘에는 무수히 많은 별들이 나타난다. 그날 이후 나는 온전히 별들과 하나가 됐다.
고소에 적응하기 위해 마신 하루 6L 이상의 물은 나를 새벽에 한두 번씩 깨어 별들을 바라보게 한다. 하늘을 보고 있노라면 하늘의 별들이 쏟아져 내릴 것만 같아 불안하기도 하고 젊을 때 즐겨하던 갤러그 게임도 생각난다. 그리고 10, 20분을 그냥 멍하니 하늘을 바라보며 흘려보낸다.
낮에 마신 물은 새벽의 소변을 부르지만 밤하늘의 별은 나의 눈을 글썽이게 만든다. 무지하게 아름다운 남반구의 밤하늘, 지구의 정반대에 있어서 내가 처음 보는 밤하늘로 인해 세상이 아름다워진다. <계속>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