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권이 출범하면서 유행어가 된 단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코드'다. 끈 또는 유대를 나타내는 Cord로 사용되거나 통한다는 표현으로 Code라고 쓰여지기도 하지만 엄밀히 보면 노무현 대통령의 사상과 개혁의지 등을 함께 공유하고 실천해 나갈 수 있는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 듯 싶다. 평범한 `변호사 노무현'에서 `대통령 노무현'이 되는 과정에서 재야와 제도권 내를 드나들면서도 버리지 않았던 노 대통령의 원칙과 소신은 개혁과 실천이었다. 숱한 고초를 겪으면서도 지켜왔던 이러한 원칙과 소신을 지키기 위해 출범 초기부터 코드가 맞는 사람들의 중요성이 부쩍 강조돼 왔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청와대 비서관 상당수가 386출신을 포함한 운동권에다 행정관도 다수가 이들로 채워져 노 대통령이 어떠한 생각을 갖고 개혁을 추진할 것인지 미뤄 짐작할 수 있다. 군사정권시절부터 이 땅의 민주화를 이끌었던 김영삼·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이 재야의 한계를 뛰어넘어 대통령에 당선됐지만 10년의 집권기간 동안 개혁다운 개혁을 실현시키지 못했다. 사실 이전까지는 정권창출과정이 코드에 맞는 세력들과 연대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 때문에 개혁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으며 노심이니 전심이니 하는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통치의 개념이 팽배했다. 코드라는 단어가 인사는 물론 주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양념으로 등장하면서 일부 정당과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한 냉소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청와대와 정부를 급진좌파 성향의 운동권 벨트화시켜 국민에게 소외감과 불안감을 주고 있다는 요지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코드가 정의와 인권, 평화와 같은 인류 보편적 감성에 맞춰 개혁을 추진하는 주체들을 결집해 정책을 추진한다면 이러한 냉소들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게 될 것이다. 미 행정부에서 보여지듯 군산복합체의 코드나 구태를 유지하기 위한 코드가 아니라면 새로운 시대의 코드가 정당한 시대정신의 보편가치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지켜볼 만하지 않을까. (植)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