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연평도 피해 종합대책 발표에 연평도 현지에는 6일 ‘기대’와 ‘우려’를 표하는 주민들의 만감이 교차했다. <관련 기사 2·3·4·5·8·14면>
연평도 체류 주민인 이기옥 씨는 “300억 원을 지원한다 했는데 당장 주민 생활안정과 주택피해 복구, 어민 보상이 시급한 만큼 이 부분에 집중되길 바란다”며 “주민 지원보다 도로시설이나 방공호 사업이 먼저 실시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정구 씨는 “연평도 주민 중에서도 민박 등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여럿이다”며 “이들 주민에 대한 보상은 한마디 언급도 없어 유감”이라고 우려를 전했다.
반면, 한쪽에선 연평도 재건에 대한 기대도 쏟아졌다.
보상협의만 마무리된다면 그 동안 갈등의 골이었던 주민 취로사업 등이 본격화돼 당장 생계 걱정은 덜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우선 연평면사무소는 풍랑주의보가 풀리고 뱃길이 열리는 날부터 농어업·산불 피해 조사에 나서는 것은 물론, 꽃게 냉장시설 보수공사도 병행키로 했다.
이어 주민피해 보상협의가 끝나는 대로 주민 취로사업의 일환인 피폭 폐기물 처리 작업도 실시키로 했다.
이와 함께 체류 주민의 건강상 문제를 돌보기 위해 종합검진계획도 세웠다.
이유성 씨는 “하루라도 빨리 주민 보상이 마무리돼 연평도에 다시 생기가 돌았으면 한다”며 “내일 주민대표와 인천시가 최종 협상을 치른다고 하는데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길 바란다”고 했다.
상황이 이런 탓에 연평도 현지의 관심은 연평주민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와 인천시의 최종 합의에 쏠리고 있는 분위기다.
대다수의 연평도 체류 주민들은 비대위가 하루라도 빨리 인천시와 협의의 결론을 맺길 바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영하의 온도와 주민 발길이 뜸해 적막감은 물론, 을씨년스럽기까지 했던 연평도에 조금씩 회생의 기운이 감돌고 있다.
전력시설 수리가 완료돼 3일 전부터 야간에 가로등이 켜지기 시작하면서 마을 곳곳의 밤길이 환해졌으며, 체류 주민에게 김치와 쌀 등 식료품 지급이 실시간으로 이뤄져 살림살이가 잠시나마 넉넉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6일부터는 한 가구당 200L의 보일러 등유가 무상으로 지급돼 얼음장 같이 차갑던 김인성(75)씨 등 수십 채 가구의 방바닥은 모처럼 만에 온기를 되찾게 됐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