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12간지 짐승에도 본받아야 할 덕목이 있다. 2011년, 신묘(辛卯)의 신은 10간 중 제8위이고, 묘(토끼)는 12지의 짐승 중 넷째인데 이 토끼의 덕목은 만물의 생장·번창·풍요를 상징해 그해 농사의 풍요를 염원함과 관계가 있다.
시간적 개념으로 묘는 오전 5시부터 7시 사이인데, 이래서 아침밥은 묘반(卯飯), 아침 잠은 묘수(卯睡), 식전의 해장술은 묘음(卯飮) 등의 용어를 낳았다.
묘는 방위로 정동(正東)을 가리키고, 달은 음력 2월이다. 육십갑자(六十甲子) 세차(歲次)로는 27번째 경인(庚寅)에 이어 28번째이다. 토끼의 덕목은 또한 자애롭고 남을 존중하는 기품임을 ‘별주부전’에서 엿볼 수 있고, 19세기 민화에서는 계수나무 아래 방아를 찧는 모습으로 평화로움을 나타낸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비자는 ‘국사를 맡은 자는 권력으로 강제하기보다 백성이 스스로 나서서 일하게 하는 토끼같은 덕의 중요성’에 무게를 뒀고, 프랑스의 혁명 지도자 로베스피에르는 귀가 큰 토끼는 남의 말을 경청하고 싸움보다 평화를 좋아하는 선의 상징이라고 했다. 이렇게 토끼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서민의 표상이며 상서로운 동물로 인문사에서 통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 기록에 토끼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고구려 6대 태조왕 25년 10월 부여(夫餘)에서 긴 꼬리와 뿔 셋이 달린 토끼를 바치자 이를 상서로운 짐승으로 여겨 나라에 사면령을 내렸다는 기록이다. 
한때 거북과 경주하는 토끼는 인내력과 끈기가 모자라는 동물로 묘사돼 왔는데, 요즘은 인식이 바뀌어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낮잠을 자지 않는 모습으로 등장해 전천후 능력의 토끼로 더욱 사랑받고 있다.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폭격 등으로 어수선했던 경인년을 보내고 신묘년 새해에는 풍요롭고 평화로운 세상이 한껏 열리길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