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두환 미래변화예측연구소 소장

 2050년 인천의 미래 모습은 어떠할까? 지난 6일 취임 100일을 맞아 유정복 시장은 민선6기 인천시의 비전으로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를 발표하면서 이를 실현할 10대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제1순위인 과제가 ‘인천 비전 2050 미래발전계획 수립’이었다. 2050년이면 지금으로부터 36년 이후의 미래다.

급격하게 변하는 사회행태를 볼 때, 2050년의 미래는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 30년 이후의 미래예측은 통상 경제예측이나 트렌드 분석으로는 불가능하고 온전히 미래 연구의 영역에 해당되며, 현재 살고 있는 세대보다 다음 세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미래 연구는 유권자의 표를 갈구하는 정치인들에게 그리 좋은 주제는 아니다.

미래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는 정치인들은 많으나, 실제로 활발한 미래 연구 조성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치인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전세계적으로 ‘미래’라는 용어가 유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미래 연구와 전혀 관계없는 부서조차도 부서명에 ‘미래’라는 용어를 붙이려는 유혹을 받고 있다.

미래연구가로서 정치인이 ‘미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면 둘 중에 하나이다. 자신의 인기를 위해 유행에 편승하거나, 아니면 진정으로 다음 세대를 배려하는 것이다.

인천에서 태어나 인천을 사랑하고 우리 자녀들의 미래를 준비하는 한 사람으로서, 삶의 굴곡도 많고 고향은 다양하지만 자녀들을 인천에서 낳고 기른 사람이 많은 인천이라는 지역의 한 시민으로서 유정복 시장의 ‘인천 비전 2050 미래발전계획’을 마음속으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어떠한 모습으로 2050 미래인천이 그려질지는 모르지만, 진정으로 인천시민들이 모두 꿈꾸는 꿈을 그려 내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지는 2050 미래인천의 모습이기를 기대한다.

12~13세기, 척박한 땅에서 유목민으로 살아가던 칭기즈칸은 그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꿈을 가졌다. 그는 이렇게 역설했다. “한 사람의 꿈은 꿈이지만, 만인(萬人)의 꿈은 현실이다.” 칭기즈칸의 꿈은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인 원나라를 만들었고 알렉산더 대왕, 나폴레옹, 히틀러 등이 정복했던 땅을 합친 것보다도 더 넓은 땅을 얻었다.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꿈(dream)은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비전(vision)을 만들고, 공유된 비전은 헌신된 지도자의 리더십(leadership)을 기반으로 올바른 방향이 결정되고 거대한 행동(movement)으로 옮겨지게 되며, 꿈(dream)이 현실(dream come true)로 다가오게 된다. 우리 모두 같이 하면, 가상(virtual)의 꿈을 현실(real)의 삶으로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지금 인천의 시스템에서 새로운 인천의 꿈을 도출해 낼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타깝게도 거의 불가능하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이 있듯이, 새로운 인천의 꿈은 새로운 시스템이 만들어져야만 가능하다.

 아무리 구성원들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시스템이 이를 뒷받침해 주지 않으면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모든 구성원들에게 방향성을 결정해 줄 지도자의 진정한 리더십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시스템이 없다면 인천의 꿈은 한낱 저잣거리의 술안줏감일 뿐이다.

다가올 미래사회는 지금까지 인류가 살아온 경험으로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복잡성을 갖고 있다. 창의적 인재가 매 세대마다 필요했지만, 미래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창의적 인재 발굴이 절실하다.

복잡성이 높고 초연결주의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사고를 갖춘 창의적 인재의 계발이 최우선적일 것이다.

새로운 인천의 꿈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몇몇 행정가들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탁상 비전이 아니라, 인천시민들의 집단지성을 통해 얻어진 창의적 비전이어야 할 것이다.

어떻게 창의적 비전을 도출할 수 있을까? 먼저 미래지수가 높고 열린 사고를 가진 전문가들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둘째, 창의적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체계화된 프로세스(과정)와 절차가 있어야 하며, 이를 수행할 진행자가 있어야 한다.

셋째, 각 영역의 비전들을 융합할 수 있는 시스템과 통섭의 능력을 갖춘 통합자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역량을 갖춘 시민들을 교육시키고, 지속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