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실 대한결핵협회 인천지부장

 2015년 신학기가 시작되면 인천에서도 타 시·도 진보교육감이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획일적인 9시 등교와 두발 규제 완화, 그리고 학부모와 학생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혁신학교 운영, 중학교 1학년 무상급식 등을 진보교육의 어젠다로 끌고 갈 것이다.

이젠 과거와 다르게 세계 속의 한국 교육에 대해 많은 학부모가 알고 있으며 특히 학벌이 학생의 미래를 보장하고 또한 국가 발전에 중요한 변수가 되며, 저출산 시대에 1자녀 혹은 소수의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자녀의 학업성적 향상을 위해 학교와 국적을 선택하는 현실에서 지역교육청 진보교육감이 공교육 기관을 움켜쥐는 게 그리 쉬운 것은 아닐 것이다.

이쯤되면 지역교육청이 학교교육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지역교육청이 지역교육의 모든 것을 할 수 있었으나 점점 정보가 공개되고 교육정보 개방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이제 교육에서 모든 것을 교육감이 전부 할 수 있는 시대는 아니다.

운동경기에서 관중이 만족하지 못하는 경기가 관중을 불러 모을 수 없기에 그 경기 자체가 무의미하고, 학부모·학생이 만족하지 못하는 교육은 교육 자체에 의미가 없으므로 교실 현장에서 교수·학습을 벗어난 정치적 잣대에 따른 교육환경 변화는 학부모, 학생 그리고 지역인사의 이해와 동의를 전제로 추진돼야 한다.

하지만 색깔코드를 같이 하는 일부 시민단체를 앞세워 진보교육감이 과거 일상적으로 행하던 농성과 피켓을 들고 하던 집회를 앞세워 흐름을 바꿔 보려는 시도는 교육을 걱정하는 많은 시민에게 교육 불신과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지금 교육 현장에는 진보교육감이 교육의 자율이라는 명분으로 좌파진보 정당의 깃발만 내린 채 교실 현장에서 고민해야 할 더 잘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의 기본을 저버린 교육정치의 선동과 위선이 이 시대 교육 단면도를 만들고 있다.

현재 이뤄지고 있는 지방교육에서 불거지는 많은 교육 쟁점이 과연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얼마만큼 교육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걱정하는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고 현실에 안주해 다음 선거에서 다시 한 번 자리 굳히기를 위해 몸부림치는 선심성 나눠 주기에 바쁘다.

어린 학생이 교실에서부터 공짜 받기를 배우고 있다. 이는 열심히 노력해 자랑스러운 결과를 나눠 주고 공유하는 배움의 터전이 아니다. 주어지는 공짜에 순서를 기다리며 만족할 줄 모르고 불만과 불평을 가르쳐 주고 있다.

학부모가 학력 향상을 다급하게 소리쳐도 현재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다는 명분 아래 이미 타 시·도에서 실패한 혁신학교와 무상급식 추진이 시급하다고 한다.

2014년보다 교육예산이 약 2조8천억 원으로 3% 정도 증액 배정됐고, 또한 해마다 초등·중학교·고등학교 학생이 대폭 줄어들고 있지만 정치교육의 진보교육 수장은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 본질에서 벗어난 진보진영 논리에 휩싸여 정부와의 싸움에 몰두하고 있다.

일선 학교장이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학생 등교시간 문제를 심각한 교육적 쟁점이자 정치적 논란으로 부각시키는 그 자체가 교육 현장에 정치적 편가름으로 정치·사회적 대립이나 투쟁의 대상으로 끝없이 확대 및 분란을 가져가고 있다. 진보진영 논리에 따라 일방적으로 관철하려는 태도는 교육적 차원의 해결이 아니다.

학생 교육을 통해 적어도 10년 후 한국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무섭게 변화하는 중국, 그리고 더 커지는 일본 등 주변국에 작지만 강한 나라로 만들기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