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복합리조트 최적지로 떠올랐다. 27일 문화체육관광부의 발표가 이를 증명했다.

문체부는 이날 ‘복합리조트 개발 사업계획(RFP·Request For Proposals) 청구가능지역으로 9곳을 선정했다. 인천이 이 가운데 6곳을 차지했다.

6곳 중 인천항만공사가 송도 9공구에 추진 중인 골든-하버 개발지를 제외한 5곳이 영종도에 몰렸다. 인천시와 업계에선 집적화를 이루게 됐다는 시각이다.

이번 문체부의 발표로 영종도 지역에 사업을 제안한 13곳 중 영종하늘도시(3곳)를 제외한 10곳의 사업자들(미단시티 5곳, 제2인천국제공항업무단지 3곳, 무의도 2곳)은 모두 복합리조트 예비 심사를 통과했다.

미단시티(운북동 1270-1, 1278-1 일원)는 ▶미·중 합작 GGAM 랑룬캐피탈 ▶중국 신화련 그룹 ▶마카오 임페리얼 퍼시픽 ▶홍콩 CTF코리아개발 ▶싱가포르 오디아 등 5곳이다. 인천국제공항 제2국제업무단지(IBC-II·운서동 2955 일원)에는 ▶미국 모헤간 선 ▶한국 GKL, ▶영국 웨인그로우 등 3곳이다. 이 외에 무의동 705-1 일원 쏠레어코리아와 을왕동 산 70-1 오션뷰 등이다.

관심은 올해 연말께 발표할 최종 사업자 선정이다. ‘두 장의 카드(복합리조트)’를 이들 중 누가 차지하느냐다.

문체부의 이날 발표로 ‘카드’를 얻기 위한 사업자들의 ‘힘겨루기’는 시작됐다. 일단 영종도 내 사업자들은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RFP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에 따른 가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RFP의 사전 절차인 사업콘셉제안(RFC·Request For Concepts)평가를 통과해서다. 하지만 최종 사업자 선정까지는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인천은 그동안 복합리조트 집적화를 내세우며 정부를 압박했다. 그러나 문체부는 이를 감안하지 않았다. 집적화와 지역 안배는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김철민 문체부 관광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후보자 선정 관련 공고를 할 때 지역에 대한 안배는 언급한 적이 없다고 했다. 특정 지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국내외 사업자를 대상으로 경쟁 공모를 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 정책관은 ▶청구자격 충족 여부 ▶사업계획의 타당성 ▶실행 가능성 등 정해진 평가 기준을 따르겠다고 밝혔다.

이 점을 주목해야 한다. 우선은 사업자들이 사업계획 공모 준비를 잘해야 한다. 인천이 주장하는 ‘복합리조트 집적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인천으로서는 달갑지 않겠지만 현실이 그렇다. 중국 관광객 유치에 목적을 두고 있는 영종도 복합리조트 개발사업이 실패할 경우 국내 카지노업계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리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국내 카지노 업계의 공멸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천 입장에선 내년 4월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상황도 예의 주시해야 한다. 자칫 문체부의 사업자 최종 선정이 총선 영향으로 ‘지역 안배’ 논리에 휘둘릴 수 있다.

그럴 경우 인천으로 오는 ‘파이’는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인천이 주장하는 집적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이점을 명심해야 한다.

안재균 기자 a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