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왼쪽부터 제3연륙교, 인천로봇랜드 조감도, 루원시티 사업 지구. /기호일보DB)
‘민선6기 유정복호(號)’가 출범한 지 2년이 지났지만 각종 현안은 여전히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다. 유 시장은 취임 초기 ‘힘 있는 시장’을 내세우며 오랫동안 답보 상태에 빠진 지역 현안을 해결하겠다고 선언했으나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도 요원하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랜 기간 시민을 괴롭혀 온 대표적 현안은 제3연륙교와 루원시티, 수도권매립지, 로봇랜드 등이다. <관련 기사 3면>

이들 현안은 전임 안상수 시장에서 송영길 시장으로, 그리고 유정복 시장까지 10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는 동안 해결책을 찾지 못해 지역 ‘골칫거리’가 된 지 꽤 된 사안들이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속 시원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1997년 제3연륙교 건설계획이 담긴 인천도시기본계획을 승인했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청라국제도시와 영종하늘도시를 조성하면서 건설비용 5천억 원을 분양가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기존 민자도로인 영종·인천대교 손실보전금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1조4천억여 원에 달하는 손실액을 놓고 시와 국토교통부가 부담 주체를 결정하지 못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시는 국토부와 협의 없이 기본설계에 먼저 들어갔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원성’ 때문이다. 국토부는 협약 위반이라며 반대 입장을 통보했다. 지금까지 시와 국토부는 이렇다 할 해법도 내놓지 않은 채 팽팽한 줄다리기만 계속하고 있다.

루원시티 사업은 더욱 가관이다. 10년째 카운트다운만 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 사업은 국내 최초 입체복합도시 건설을 목표로 2006년부터 시작됐다. 서구 가정동을 중심으로 추진된 이 사업은 수년째 지지부진하다 최근에서야 토지 보상과 건물 철거를 끝냈다. 시와 LH는 지난해 3월 루원시티사업 정상 추진에 합의했다. 올해 2월 주거용지는 줄이고 상업용지를 늘리는 식으로 도시개발계획을 변경했다. 시는 도로·전기·통신·상하수도 등 기반시설공사가 2018년 2월 완료되면 토지 매각과 사업 진행이 원활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문제는 비싼 조성원가(3.3㎡당 약 2천100만 원)다. 결국 이 땅값으로는 앵커시설 유치는 물론이고 민간사업자 참여까지 낙관할 수 없다는 얘기가 많이 나온다. 땅값을 낮출 대안이 있어야 루원시티도 제 길을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매립지도 그렇다. 결국 ‘2016년 종료’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대신 대체매립지 조성을 전제로 ‘조건부 연장’을 허락했다. 이마저도 한시적 매립이 아닌 영구 매립으로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로봇랜드도 민간참여자가 없어 ‘반쪽짜리 로봇랜드’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수년째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애쓰고 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투자 유치 불발, 정부와의 협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그럼에도 멈춰 서 있지 않고 난관을 타개하기 위한 행보를 통해 지역 현안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