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인구 감소와 산업 침체, 노후화 등으로 전반적인 쇠퇴 위기에 처해 있다. 경제자유구역을 제외한 원도심 대부분이 쇠퇴지역인 셈이다. 지역의 쇠퇴는 저출산과 고령화 심화로 이어지면서 인구소멸에 의한 지역소멸 위험까지 증가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중 1순위로 도시재생이 꼽힌다.

그러나 단순한 외관 바꾸기 위주의 도시재생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보는 길을 잃은 듯한 지역 원도심 현황 및 실태를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통해 도시가 활력을 되찾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인천시 내 원도심 지역 모습=기호일보 DB
인천시 내 원도심 지역 모습=기호일보 DB

인천지역 절반을 훌쩍 넘는 곳이 쇠퇴지역에 해당한다.

7일 인천시와 인천연구원 등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인천시 내 쇠퇴지역은 전체 149개 읍면동 중 103개 동(69.1%)에 이른다. 또 지역 전체 인구의 63%에 해당하는 184만 명이 쇠퇴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쇠퇴지역은 인구 감소, 사업체 감소, 건축물 노후도 3가지 기준 중 2개 이상을 충족하는 지역을 말한다.

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한 연수구·서구·중구와 신규 택지공급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이 쇠퇴지역으로 인구 감소와 산업 침체, 노후화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경인고속도로와 경인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가 된 인천대로, 경인전철, 인천내항 등 노후된 사회간접자본(SOC)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쇠퇴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곳곳이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인구 소멸로 인한 지역 소멸이 우려되고 있다.

지역 내 소멸위험지역은 2005년 140개소, 2010년 142개소, 2015년 149개소로 증가 추세에 있다. 소멸위험지역은 소멸위험지수로 결정된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가임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1.0 미만이면 ‘소멸주의지역’,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진입지역’, 0.2 미만이면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소멸위험진입지역은 중구 4개 동, 동구 3개 동, 미추홀구 1개 동, 강화군 1개 읍·2개 면, 옹진군 5개 면으로 중구 신포동·동인천동·북성동·용유동, 동구 송림1동·송림2동·금창동, 미추홀구 용현3동, 강화군 강화읍·선원면·길상면, 옹진군 북도면·백령면·대청면·자월면·영흥면 등이다.

소멸고위험지역은 강화군 불은면·화도면·양도면·내가면·하점면·양사면·송해면·교동면·삼산면·서도면, 옹진군 덕적면 등이다.

더구나 인천지역 전체의 소멸위험지수는 1.29로 울산 1.46, 세종 1.44, 대전 1.31, 경기 1.30에 이어 전국 5번째로 높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원도심 쇠퇴지역과 소멸위험지역에 대한 집중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도시재생이다.

특히 시는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사업 공모에 힘을 쏟고 있다. 시는 2017년부터 매년 공모에 선정됐으나 올해 상반기 공모에는 모두 탈락해 하반기 공모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우창식 시 재생정책팀장은 "하반기에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열심히 준비했다"며 "이번 주 중 공모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도시재생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