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산업계가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정책에 사실상 무방비 상태다. 설비 개선 등 적잖은 시설투자가 뒤따르는 온실가스 저감대책에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2% 감축하는 내용을 담은 ‘제2차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을 의결했다. 2017년 7억914만t에 달했던 에너지·산업·건물·수송·폐기물·공공·농축산·산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5억3천600만t으로 32%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석탄발전 대신 재생에너지를, 수송 부문에서는 전기차·수소차 등 저공해 차 보급과 함께 도로에서 철도·해운(LNG선박) 중심의 운송체계를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인천지역 산업계는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방침에 뾰족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17년 인천의 온실가스 관리업체는 127곳으로 5천10만8천309t을 배출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 충남, 전남, 경남, 경북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다.

정부의 방침을 단순 적용할 경우 인천의 온실가스 관리업체들은 2030년까지 3천407만3천700t으로 감축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의 온실가스 배출 추세를 보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센터가 집계한 2011년 인천 관리업체 109곳은 4천784만2천538t의 온실가스를 내뿜었다.

지난해 관리업체 136곳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5천118만5천816t이었다. 관리업체 증가와 함께 온실가스 배출량도 증가하는 추세다.

업체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선 공정별로 대규모 설비투자를 해야 한다. 관리업체 대부분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목재 등의 업종으로 설비투자비가 만만치 않다.

온실가스 제거장치의 경제성도 확보하지 못한 형편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인천의 K사와 2015년 R&D 협약을 맺고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에서 온실가스 포집 및 건설소재 활용공정 파일럿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검사 결과 이산화탄소 93.5%, 황화수소 79%, 먼지 64.3%, 염화수소 26.2%의 제거율을 보였지만 상용화가 안 돼 온실가스 배출거래가보다 제거를 위한 원료투입비가 비싼 실정이다.

박정환 기자 hi21@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