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지 1년이 지났다. 1년은 우리 사회의 취약점이 그대로 드러난 시간이기도 했다.

대면 서비스에 의존했던 돌봄과 지역경제, 공공의료 등은 코로나19 앞에서 무력화됐고, 경제불황으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거나 폐업을 하면서 양극화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2월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는 소식이 반짝 희망으로 다가왔지만 안전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남아 있다.

본보는 지난 1년 동안 코로나19가 인천에 남긴 흔적과 위기,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짚어 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연구 (CG) /사진 =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연구 (CG) /사진 = 연합뉴스

1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을 인천도 피할 순 없었다. 민생경제 지원과 인천형 뉴딜사업 추진 등 앞다퉈 대책을 내놓았지만 각종 경제지표는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시는 올해 고부가가치 산업 대전환을 목표로 삼고 경제 회복에 방점을 찍는다는 각오다.

24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인천의 생산지표는 2019년 같은 달 대비 일제히 악화됐으며 광공업 생산지수, 자동차산업 생산성, 의약품 생산지수 등과 함께 소비재생산액도 대폭 감소했다. 여기에 지난해 11월 건설수주액은 2019년 대비 6천450억 원(23.2%) 감소했다. 건축허가면적도 2019년 11월 115만8천466㎡에서 지난해는 26만2천599㎡로 77.31% 급감한 탓에 올해도 불황이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른 여파로 인천의 지방세수는 지난해 약 4조 원에서 올해 3조8천억 원으로 약 2천억 원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제조업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인천지역 산업구조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의 지난해 BSI(기업경기실사지수)는 9월 42에서 10월 57, 11월 63, 12월 61로 하반기 동안 빠르게 회복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영세한 중소 규모의 저부가가치형 산업 의존도가 높고 노후 산단의 비중이 커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는 3천43만 원으로 전국 12위에 머무르는 상황이다.

따라서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특성에 맞는 고부가가치 산업 시장 확보 노력이 요구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17일 발표한 ‘HRI 코로나 위기극복지수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위기 속 내수와 외수, 고용, 산업생산 등의 분야에서 제조업이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43개 사업에 4천736억 원을 투입해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를 개조하고, 25개 사업에 5천760억 원을 들여 스마트 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바이오산업·기업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특히 연세대 송도국제캠퍼스에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연간 2천여 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송도국제도시와 남동산단을 연계하는 인천형 첨단의료복합단지와 바이오 자원 공유 코디네이션센터도 구축한다. 바이오 원·부자재 30개 품목을 국산화하고, 이를 지원할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센터를 만든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와중에 소비 트렌드가 비대면 서비스 위주로 집약되고 있고, 동시에 국내 산업생태계도 스마트 제조 전환과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며 "인천도 그에 맞는 생산 기반을 확충해 일자리 등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경제회복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