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주택 공급 확대 정책에 따라 신규 공공택지 지정과 공공 주도 재개발사업이 속속 추진 기로를 밟아가고 있지만 경기도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에서는 사업지 지정을 후회하는 목소리가 형성되고 있다.

10일 경기도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도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은 고양 원당, 시흥 대야, 수원 세류2, 화성 병점 등 총 48곳이다.

2017년 시작된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물리적 환경 개선과 함께 주민들이 주도해 도시를 종합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정책으로, 노후 주거지 및 원도심을 지역 주도로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도내 48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에는 국·도비 등을 포함 총 8천52억 원을 투입해 기존 주택 개량 및 소규모 주택 정비, 마을 주차장 설치, 커뮤니티 지원시설 등 생활밀착형 기초 인프라 설치가 이뤄진다.

그러나 집값 폭등을 잡기 위한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이 이어지면서 이들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2018년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고양 창릉, 부천 대장지구 등에 이어 지난달 2·4 부동산 대책을 통해 광명·시흥지구까지 3기 신도시로 지정했다.

신규 택지인 3기 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데 반해 도시재생 지역에서는 이렇다 할 반등을 찾기 어렵게 되면서 뉴딜사업지로 지정된 것에 되레 불만을 표하는 여론들이 제기된다.

정부는 공공 재원이 이미 투입된 이들 도시재생 지역에 대해서는 신규 택지 지정이나 공공 주도 재개발 등의 중복적 정책 추진은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정이 사실상 ‘악재’가 됐다는 반응이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인 오산시 궐동의 한 주민은 "도시재생 지정으로 재개발만 더 늦어졌는데 외부 경관 개선을 위한 집수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평택시 신장지역의 한 주민도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는 지역의 물리적 공간이 구조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며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도시재생 뉴딜지역으로 선정된 것이 외려 좋지 않은 상황이 됐다"고 토로했다.

임하연 기자 l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