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김승규 교수 연구팀은 28만t의 미세플라스틱이 서북극해 계절해빙에 갇혀 존재한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전 세계 바다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버금가는 양이다.

인천대 해양학과 김승규 교수 연구팀과 극지연구소 연구팀(소장 강성호)은 2016년부터 2년간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타고 서북극해를 탐사해 해빙(바다얼음), 해빙 연못수, 눈에 남아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측정했다.

1㎛∼5㎜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은 해류와 바람에 실려 북극해로 유입된 후 해빙(바다얼음)에 축적된다고 알려졌을 뿐 정량적인 값이 확인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태평양에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여름에 녹았다가 겨울에 다시 얼어붙는 계절해빙 과정에서 해수에 존재하는 양보다 수만 배 이상 농축돼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계절해빙은 대서양 쪽의 동북극해보다 태평양 쪽의 서북극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서북극해에 모인 미세플라스틱은 극지횡단표층류를 타고 중앙북극해나 대서양 쪽 북극해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연구했다.

특히 해빙에 포획된 미세플라스틱이 기존 추정과 달리 대부분 바다를 타고 왔으며, 눈이나 바람에 의한 영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봤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연구개발과제 ‘북극해 환경변화 통합관측 및 활용연구’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유해물질학회지의 2021년 9월호(공동제1저자 김승규·이희지·김지수)에 게재될 예정이다.

김승규 교수는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줄지 않고 기후변화의 영향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순환과 축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서북극해의 변화에 지속적으로 연구인력과 인프라를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승준 기자 sjpar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