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산업유산을 효율적이고 유의미하게 활용하려면 시민사회 공감대 형성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29일 공개한 ‘인천 산업유산의 문화적 활용 방안: 동일방직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에 위치한 다수의 산업유산은 지정·등록문화재가 아니기 때문에 체계적 보호 및 관리가 어렵다. 심지어는 훼손되거나 철거되는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다.

산업유산은 일반적으로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산업 관련 유무형 자산으로 특정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정의된다. 지역 산업유산으로서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역사성, 경제성, 공간성, 지역성, 상징성 등을 담은 특화 자산이어야 한다.

인천의 대표 산업유산으로는 1934년 조업을 시작해 2017년 생산기능을 중단한 동구 만석동 동일방직 인천공장 부지가 언급된다. 일제강점기 일본 5대 방적업체 중 하나인 동양방적이 인천에 진출한 것으로, 해방 이후 국내 최대 섬유공장이자 민주화운동 및 여성 노동운동의 산실로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다양한 건축양식 관찰이 가능해 인천 근현대 건축역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동일방직은 현재 법적·제도적 차원에서 보존이나 활용의 지원 근거가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동일방직의 문화적 활용을 위해서는 예산 및 법률적 검토를 통해 건물 매입 또는 장기임대, 소유자와의 협약 등 소유권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시 등록문화재나 우수건축자산 등록 역시 반드시 소유자 동의가 있어야 한다.

결국 인천연구원은 시민사회 공론화를 확대하고, 산업유산 지원 및 활용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동일방직 사측이 재생 및 개발계획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데다, 일제강점기 산업유산 보존에 대한 시민사회의 문화적 갈등도 존재하는 만큼 공론화 과정으로 이를 좁혀나갈 필요가 있는 판단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방직 보전·활용 공감대 형성 ▶동일방직 일부 공간 기부채납 방식 고려 및 기업 설득 등 부지 확보 방안 모색 ▶산업유산 지원 및 활용 근거 마련 ▶중앙정부 문화재생 사업 연계 추진 등을 제시했다.

인천연구원은 "타 지자체 사례를 참고해 산업유산 지원 조례 제정 등 인천에도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아직 지역 산업유산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적이 없으므로 우선 산업유산 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지역 도시정체성을 반영한 보존·활용계획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