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에너지기업 오스테드가 2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해상풍력발전 사업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홍봄 기자
덴마크 에너지기업 오스테드가 2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해상풍력발전 사업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홍봄 기자

인천지역의 해상풍력발전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추진 과정에서 풀어나가야 할 과제가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덴마크 에너지기업 오스테드는 2일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옹진군 굴업도 15㎞, 덕적도 북서쪽 20㎞ 지점에서 2026년 완공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1.6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간담회에서는 해상풍력사업으로 인한 어업권 침해 우려와 주민수용성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질문이 이뤄졌다. 앞서 해상풍력이 추진되는 굴업도 인근 공유수면에서 꽃게 어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어민들의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다. 어민들은 계측기 설치 예정 지역이 어업구역인지 사전 확인이 부족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박정민 시장개발본부장은 "조업활동에 대한 일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대한 어장을 피하고자 했지만 우리가 모르는 어장이 있을 수 있다"며 "많은 어민들을 만나고 배우면서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오스테드는 사업을 진행한 타이완의 사례를 들어 어민들에게 직접 해상풍력 단지를 보여 주는 등 해상풍력사업이 미치는 영향을 공개하고,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한 업종 전환 가능성을 제시하는 상생 방안을 소개했다.

쉬 이춘 아시아·태평양 총괄은 "어민분들은 우리보다 해역과 해양환경을 잘 아시기 때문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직접조업구역은 피해야 한다"며 "만약 선정 부지가 조업활동 영역에 있다면 어떻게 조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을지 이야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해상풍력사업으로 인한 이익을 지역으로 환원하고 산업을 함께 발전시킬 방안 역시 연구과제다.

오스테드의 경우 해상풍력 전문인력 양성과 국내 공급망 개발 및 공급업체 확립 등을 주 내용으로 인하대학교와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상태다. 하지만 인천은 타 지역에 비해 해상풍력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중공업이 발전하지 않은 탓에 중견·중소기업의 기술 개발로 연결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주민들이 우려하고 있는 사업자 간 공유수면 점·사용허가나 해상풍력사업권 거래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사업이 시작되면 최소 25년을 운영해야 하는데, 타 지역에서 중도에 사업자가 바뀌면서 주민들에게 혼란을 주는 사례들이 발생해 왔기 때문이다.

마티아스 바우센바인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개발을 시작하고 사업에 착수하면 끝을 맺을 때까지 이해관계자들과 협업하고 같이 나아가야 한다"며 "우리는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인천시와 협력할 강력한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