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친수공간 조성 등 인천시내 바다 관련 사업은 증가하는데 해양수산직 공무원은 부족하다. 사진은 만석화수해안산책로 뒤로 보이는 인천 앞바다. <동구 제공>
해양친수공간 조성 등 인천시내 바다 관련 사업은 증가하는데 해양수산직 공무원은 부족하다. 사진은 만석화수해안산책로 뒤로 보이는 인천 앞바다. <동구 제공>

인천지역 해양수산 관련 사업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기초자치단체의 해양수산직 공무원들은 태부족하다.

2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에서 진행하는 어촌뉴딜 300사업의 예산은 지난해 338억7천500만 원에서 올해 1천169억3천900만 원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났다. 중·남동·서구 등 기초자치단체의 수산물 가공사업 예산도 지난해 45억 원에서 49억 원으로 소폭이지만 늘었다.

하지만 지역 내 해양수산직 공무원이 근무 중인 곳은 중구 6명, 동구 1명, 남동구 6명, 연수구 1명, 서구 1명 등 5개 구에 그친다.

중구는 삼목항(107억 원), 덕교항(129억 원) 등 어촌뉴딜 사업을 소화하기에 해양수산직(2개 팀) 공무원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동구는 4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만석화수해안산책로 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팀 단위는커녕 해양수산직 공무원 1명이 업무를 처리하는 상황이다.

사정은 남동구도 비슷하다. 남동구는 1개 팀을 운영 중이지만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소래포구 국가어항 현대화사업을 진행하기에도 버겁다.

인천시도 마찬가지다. 현재 수산직 공무원이 1개 과 4개 팀을 꾸렸지만 2개 과 9개 팀을 운영 중인 부산광역시와 크게 대조된다. 울산광역시의 1개 과 3개 팀과 비슷한 수준이다.

해양수산직은 해양친수 관련 종합계획 수립, 해양수산 분야 각종 시설물 설치·관리·민원, 수산관광 활성화, 수산물 직·위판장 운영 관리, 어선등록·어업허가, 불법 어업 지도·단속, 어선 건조·개조 발주 허가, 수산물가공업 및 수산물원산지 지도 관리, 어업인 지원 등 업무가 다양하다.

더욱이 중구는 등록어선이 337척에다 어선 관련 어업허가 229건, 맨손어업 1천675건으로 다른 자치구보다 업무가 많다. 동구 또한 등록어선 46척에 어업허가가 79건이다. 중구 관계자는 "중구는 국제항도 있고 어업허가 건수도 많은데 해양수산직 직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시가 사업을 주는데도 인원이 부족해 못하는 실정이고, 내항 1·8부두 개발사업과 관련한 어민들 의견도 들어야 하는데 여력이 없다"고 토로했다.

시 관계자는 "동구는 인원이 1명이라 추가로 1∼2명 정도를 배치해야 하고, 다른 구도 사업에 비해 인원수나 조직이 적어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며 "경기도보다 인천이 해양수산직이 적어 전체적으로 증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