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윤실 한국가스안전공사 인천본부 검사2부장
허윤실 한국가스안전공사 인천본부 검사2부장

2019년 1월 17일 정부는 수소차와 수소연료전지를 중심으로 산업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로드맵에 따라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기 구축을 목표로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보조금 지원, 수소충전소 안전기준 마련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2021년 12월 말 기준으로 130여 기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됐을 뿐이다. 

이렇게 수소충전소 구축이 저조한 이유는 부지 선정의 어려움, 높은 구축 비용과 함께 수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한 민원 때문이다.  

수소충전소에서 수소가 누출되면 수소폭탄이 되는 것은 아닌지, 우리 집 근처에 수소충전소 구축이 예정돼 있다면 허가관청에 집단 민원을 제기해야 하지 않나 고민하는 국민이 많다. 

우리가 사용하는 수소는 자연 상태의 일반 수소로, 수소폭탄에 사용되는 이중수소·삼중수소와는 전혀 다른 물질이다. 수소폭탄을 만들기 위해서는 1억℃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즉, 수소자동차에 사용되는 수소는 누출돼도 수소폭탄이 될 수는 없다.

또한 수소와 기존의 주요 에너지원인 메탄(도시가스의 주성분), LPG(프로판), 가솔린과 연소 속도, 독성, 불꽃온도, 자연발화온도 등을 비교해 종합적인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수소의 위험도는 다른 에너지원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가솔린이나 LPG의 경우 공기보다 무거워 누출될 경우 바닥에 체류하게 돼 사고가 발생할 수 있지만, 수소는 공기보다 매우 가벼워 공기 중에 누출될 경우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은 수소가 더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종 안전장치(수소가스검지기, 수소화염검지기 등)를 설치해 관리하도록 안전기준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2019년 5월 강릉에서 수소저장탱크 폭발사고가 발생했고, 2019년 6월 노르웨이 수소충전소에서 고압용기가 폭발한 사고가 있어 2019년 12월 정부는 수소안전관리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강릉 사고 이후 연구규정을 개정해 연구시설에 대해 기획·수행·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안전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내 수소시설은 연 4회 의무적으로 수소품질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수소안전관리종합대책 중 국민 생활 안전과 관련된 수소충전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법을 개정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즉, 수소충전소의 설계, 시공단계에서 입지 여건, 잠재적 위험요인, 피해영향 등을 고려해 위험성을 평가한 후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있으며 수소충전소의 저장탱크, 압축기, 충전기 등의 핵심 설비와 장치 중심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수소충전사업자와 한국가스안전공사 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이중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수소 누출, 압력, 온도 등을 체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올해 2월 5일에는 세계 최초로 수소경제에 관한 법인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이 시행됐다. 수소법을 통해 그동안 안전관리 사각지대였던 저압 수소시설과 연료전지 등 수소용품에 대한 검사 의무화를 통해 안전을 확보할 예정이다.

수소가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부각되면서 수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수용성 부족은 미래 신산업으로 성장하는 데 커다란 장벽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인천시 동구에서는 ‘인천연료전지’가 구축한 39.6㎿ 연료전지설비가 준공을 앞두고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공사가 중단됐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어느 기업이 2018년부터 추진 중인 연료전지발전소가 주민 반발에 부딪혀 계획단계에서 지연되는 등 수소에너지에 대한 좋지 못한 주민 인식으로 수소산업 발전이 늦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소의 안전성, 안전한 사용 방법 그리고 친환경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통해 새로운 수소에너지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 5월 산업부, 기업체, 시민단체 및 환경단체 등 여러 기관과 단체를 초청한 인천 수소 안심 세미나를 개최해 인천시의 수소산업 미래 전략을 발표하고 패널들과 안전성에 대한 토론을 이어가 가스안전·에너지 전문가, 시민단체, 시의회와 함께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처럼 소통과 공감을 최우선 가치로 여겨 계속해서 세미나, 포럼 같은 소통의 장을 열어감과 동시에 인천의 시민들께서 깨어 있는 의식으로 받아들인다면 틀림없이 ‘수소 선도도시 인천’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믿으며, 인천의 수소안전 전문가로서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