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대피소 1호(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연평도 대피소 1호(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서해5도 등 인천시 옹진군 섬 지역 노후대피소가 골칫거리다.철거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28일 군에 따르면 지역 내 노후대피소는 연평면 39곳, 백령면 22곳, 북도면 10곳 등 모두 71곳이다. 노후 대피소들은 1972∼1974년 만들어진 방공호다.

과거에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등 대피공간으로 활용됐지만 2015년 용도폐지돼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균열이 심하고 물이 새는 등 대피소로서 제 구실을 못하기 때문이다.

옹진군은 당초 대피소 용도를 폐지한 뒤 단계적으로 철거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2009년부터 올 7월까지 철거한 시설은 백령면 13곳, 대청면 3곳, 연평면 1곳에 그친다.

노후대피소를 철거해달라는 민원은 매년 발생한다. 아직 철거하지 못한 대피시설의 70% 가량이 사유지에 지어졌기 때문이다.

또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점검에서 일부 시설은 D등급을 받는 등 안전문제도 따른다. 문제는 비용이다. 소규모 대피소다 보니 철거비용 자체는 크게 들지 않지만 철거 후 선박으로 폐기물을 육지까지 운반하고 처리하는 비용이 적지 않아 대피소 5∼6곳을 철거하려면 1억 원 가량이 든다.

여러 개를 한 번에 모아서 작업해야 하는 점도 어렵다. 옹진군은 자체적으로 비용을 감당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방공호 철거비를 지원해 달라며 행정안전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상황이다.

지난 5월 행정안전부 차관이 연평면을 방문했을 때도 대피소 철거의 시급성을 알리며 국비지원을 건의했다.

군 관계자는 "서해5도특별법에 따라 국비지원을 해달라고 해마다 요청했고 올해도 건의했다"며 "국비지원이 안 되면 군비를 마련해서라도 단계적으로 철거하겠지만 아무래도 어려움이 따른다"고 했다.

한편, 용도폐지한 노후대피소는 현대식대피시설 46곳(연평면 29곳·백령면 9곳·북도면 8곳)으로 대체했다. 주민 수 대비 대피시설 확보율은 115%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