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학 인천 산곡남중 교장
전재학 인천 산곡남중 교장

"내 삶이 곧 나의 메시지다." 인도의 성인 마하트마 간디의 말이다. 그는 역사에서 인도의 비폭력주의를 이끈 상징으로 추앙되고, ‘간디는 비폭력이다’라는 동격의 이미지를 대변한다. 왜 그럴까? 간디 자체가 폭력과는 거리가 먼 인고(忍苦)의 절제된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영국의 오랜 식민지배 폭정 아래서도 비폭력주의로 일관한 그의 저항의식은 인도의 정신문화를 선도한 위인이었다. 

 이처럼 우리는 일상 속에서 흔히 누군가를 평가할 때 "그 사람이 곧 법이다"거나 "그 사람은 법이 없어도 살 사람이다"라고 표상으로 삼는다. 이 말은 그가 바로 교과서와 같은 삶을 산다는 의미다. 즉,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바른 삶을 살아가는 사람만이 그런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누구나 바른 삶의 주인공으로 인정받고 싶어 하는 것은 보편적인 성(誠)의 심리다. 성경에서도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라(마태 5.48)"라고 가르친다. 여기서 완전함이란 곧 성실한 삶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필자는 어느 한의사와의 사석에서 그가 내린 평가를 가슴에 잊지 않고 있다. 그는 고인(故人)이 됐지만 생전에 필자를 만나면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생님!"이라고 불렀다. 왜 그랬을까? 처음엔 다소 부담스러웠다. 그러나 그 이유를 바로 알게 됐다. 그는 필자가 한방 치료를 위해 건강상담을 했던 의료인이었다. 사람의 말은 곧 그의 인품을 나타내고, 행동은 의식을 반영한다고 했던가? 평소 필자의 말과 행동에서 학생들과 더불어 쉴 틈이 없는 ‘지성무식(至誠無息)’의 표징을 읽고 필자를 지극히 성실한 교육자로 인정하며 그렇게 호칭했던 것이다.

 자신의 직분에 충실하게 살아가는 사람은 성찰의 시간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이를 계기로 자신도 모르게 직업적 소명의식이 몸에 배는지도 모른다. 누구나 타고난 기질에 성실성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자세, 실천의지 그리고 삶의 철학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면서 생각과 행동은 체화(體化)돼 가는 것이라 믿는다. 사람들은 누군가의 얼굴과 약간의 행동만 보고도 "혹시 직업이 ○○ 아닌가요?"라고 묻는다. 이 말은 개인적 호불호를 떠나서 주변의 누군가는 다른 사람의 체화된 직업의식을 직감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리라.

 평소의 믿음과 행동이 체화돼 긍정적인 이미지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보자. 미국 소설가 나다니엘 호돈(Nathaniel Hawthorne, 1804∼1864)의 작품 「큰 바위 얼굴」에서는 마을을 구원할 사람으로 믿는 앞산의 바위 얼굴 형상을 보면서 언젠가 그런 큰 위인이 나타날 것이라 믿고 기다리며 살아왔던 주인공 어니스트(Earnest)가 마침내 스스로 그런 모습으로 서서히 변모해 갔던 사실과 다르지 않다.

 앞서 언급한 간디도 자기가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모습이 그대로 자신의 삶에 농축된 언행일치의 결정체였다. 이처럼 누군가의 삶은 곧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온전히 품게 된다. 그래서 똑같은 말을 해도 누가 전달하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메시지로 다가온다. 사람이 다르면 살아온 삶이 다르고, 삶이 다르면 그 삶이 품고 있는 의미도 다르다. 결국 삶이 곧 메시지인 이유는 누구나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로 녹아내기 때문이다. 간디가 사용한 ‘비폭력’과 체 게바라가 사용한 ‘혁명’이란 단어에는 그들의 삶이 응축돼 있다. 즉, 그들의 열정과 혼, 인격과 철학이 스며 있는 것이다.

 필자는 이 위기의 시대에, 특히 교사의 삶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시 태어나도 교사가 되겠다는 다짐은 못 해도 한국판 ‘큰 바위 얼굴’이 되는 스승이 되자. 그러면 교사로서의 삶이 곧 교육의 메시지가 돼 청소년의 가슴에 스며들고 울림을 줄 수 있다. 이 시대의 진정한 스승은 바로 향기로운 삶으로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교육의 메시지를 전하는 교사가 아닌가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