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발표한 ‘초일류도시’ 계획이 성과를 거두려면 정부의 협조는 물론 외교문제까지 여러 난관을 헤쳐가야 한다. 인천시는 뉴글로벌시티 사업과 제물포르네상스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잠재우도록 조만간 상세한 실현 방안을 수립할 방침이다.

13일 시에 따르면 인천연구원 산하에 글로벌시티 TF와 제물포르네상스 연구단을 각각 구성해 운영 중이다. 각 기관은 내년 상반기까지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글로벌시티 TF는 미국과 중국 간 전략 경쟁으로 달라진 국제 질서를 파악하고, 홍콩을 떠난 다국적 기업이 싱가포르 등으로 옮겨가는 현상을 자세히 분석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시는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와 강화군 남단, 송도·청라국제도시에 홍콩을 떠나는 다국적 기업과 국제기구를 유치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투자 유인책을 마련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하지만 실현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시는 대규모 해외자본을 유치하도록 인천 내항과 강화군 남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려고 인천경제청과 검토 중이지만, 최근 정부가 경제자유구역 축소 기조를 보이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2018~2027)’을 보면 국내 경제자유구역은 총량관리제(총면적 360㎢ 이내)인데, 현재 국내 경제자유구역 면적(9개, 총 275㎢) 중 인천은 이미 절반가량인 122㎢를 차지해 불리하다.

또 유정복 시장은 지난 2016년 민선6기 시장 시절 서구 서부산업단지와 강화군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사업을 추진했지만 끝내 무산됐다. 당시 강화군은 환경단체의 반발과 군사접경지역 개발제한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 역시 무산되면서 검단신도시 일대와 서부산업단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려는 명분도 사라졌다.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인 인천 내항 1·8부두도 인천시가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토지 소유권은 해양수산부가 갖고, 재개발사업은 인천항만공사 주도로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유 시장은 내항 일대 182만㎡의 소유권을 확보하고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받도록 관계기관과 협의 중이지만 현재로선 확정된 내용은 없다.

아울러 투자를 유치할 가용 자원을 마련하거나 신성장 동력 구축, 중국과 벌어질 외교문제 등도 고려해야 한다.

시 관계자는 "현재 정권은 지방시대라는 표현을 강조하고 균형발전과 자치분권을 강화하려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 때문에 시가 열심히 건의하면 협조를 끌어내리라 본다"며 "전문가 자문단을 하루 빨리 꾸려 다양한 해결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