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위), 삼성바이오로직스 전경. /사진 = 기호일보DB
셀트리온(위), 삼성바이오로직스 전경. /사진 = 기호일보DB

국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전진기지 역할을 해 온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바이오산업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가 예상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명한 ‘국가 생명공학과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의 후폭풍이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사업 방향에 상당한 영향을 주리라 보이기 때문이다. 업계는 아직 상세한 내용이 발표되지 않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태도로 관망하는 분위기다.

14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업계 등에 따르면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의 앵커 기업으로, 2020년 기준 단일 도시 세계 1위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88만L)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물론 의약품 제조(5개 사), 공정 지원(6개 사), 의료기기(5개 사), 연구·서비스(7개 기관), 인재 양성(5개 기관) 같은 산학연 중심의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에도 마중물이 됐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국가 생명공학과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의 후속 조치가 다른 나라에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탁하지 않도록 하고 자국 생산을 독려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굳힌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최근 송도 11공구에 제5공장 인허가 절차에 들어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 정부가 행정명령 후속 절차로 바이오의약품의 미국 내 생산을 강조할 경우 대비책을 만든다는 자세다.

이 회사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함이라면 짧은 기간에는 수혜가 예상되지만 미국 내 생산을 내세운다면 길게는 공장을 미국에 짓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미 캘리포니아와 워싱턴, 노스캐롤라이나, 텍사스 같은 미국 내 4곳을 신규 공장 후보지로 여겼다는 점에서 이번 기회에 미국 내 투자계획이 급물살을 탈지도 모를 일이다. 업계에서는 2032년까지 7조 원의 사업비를 들여 송도 11공구에 2단계로 나눠 4개의 생산시설을 건립하려는 계획도 축소되거나 수정될지 모른다는 얘기가 나온다.

셀트리온은 삼성바이오로직스보다는 다소 여유로운 모습이다. 과거 CMO 중심의 기반을 램시마 같은 자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해 직판으로 유럽과 미국 시장 등을 공략하는 전략을 구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긴장은 늦추지 않는다. 행정명령의 후속 조치가 나오면 곧바로 대응하겠다는 태도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미국 제약사들은 그간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R&D에 치중했으며, 관련 의약품 생산은 제조기술이 뛰어난 한국 같은 다른 나라에 위탁하는 사업구조를 영위해 미 정부가 생각하는 미국 내 제품과 원료 생산은 단기간에 충족하지 못한다"며 "미국 내 바이오 생산에 어떤 인센티브를 제공하는지는 좀 더 지켜보고 대응해도 늦지 않으리라 판단된다"고 했다.

인치동 기자 airi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