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간의 격차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이는 수도권에 인적·물적 자원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기회가 기형적으로 집중됨에 따라 지역경제가 한층 더 위축돼 지역균형발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서다. 현재 전국인구의 46.3%가 수도권에 몰려 있어 대학도 절반 이상돼 일부 지방대학은 정원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가 하면 졸업자들의 취업률도 저조한 실정이다.
 
보도 내용대로 최근 5년간 사립대학의 기부금과 국고보조금 상위 15개 대학 중 수도권과 지방대학간 격차는 더욱 분명해 진다. 이들 기부금 상위 15개 대학에 지방대는 4개 대학만이 들고 나머지는 모두 수도권 대학이다. 국고보조금 상위 15개 대학에 9위까지는 수도권 대학이며 지방 대학은 10위부터 15위까지 5개 대학으로 마찬가지다. 이 처럼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더욱 고착화시키고 있어 문제다.
 
지방 대학의 사정이 이렇게 절박하다면 새로운 기로에 서있는 지방 대학의 위기를 타파할 대안을 진지하게 모색해 실천에 옮겨야만 할 것이다. 우선 수도권 대학과의 차별화된 점을 해소시켜 집중육성해야 한다. 그리고 취업경쟁률을 높일 수 있는 내실있는 운영과 양질의 교육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방 대학의 입지도 강화시켜야 한다. 이대로 방치하면 지방 대학의 설 땅은 갈수록 좁아져 결국 문을 닫게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이런 가운데 새정부의 12대 국정과제 중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이 들어있어 우리의 관심을 끈다. 분명한 것은 지방산업육성과 지방경제 활성화 및 지방 대학의 집중 육성 등을 제시하고 있어서다. 아울러 교육인적자원부도 지방 대학 육성 지원법을 제정해 지방 대학 지원체제를 강화시켜 지방대 출신자에게 취업기회 균등보장과 지역 인재 채용목표제 등을 실시하기로 계획하고 있다니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거듭 강조하지만 수도권 대학의 교육수준이 지방 대학의 그것보다 몇 배나 높다면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간 서열화는 깨질 수 없다. 여기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는 지금의 수도권 집중은 수도권과 지방의 서로 죽이기이지만 지역균형발전은 수도권과 지방의 서로 살리기이다. 아무튼 지방 대학 기피현상이 수도권에 모든 것이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이젠 정부와 정치권은 지방 대학 위기를 간과하지 말고 육성책이 더욱 필요한 때인 것만 같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