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의 55%가 아파트,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1년전 2001년말에는 50%를 밑돌았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주거환경이 단독주택이나 소규모 공동주택에서 이젠 대단위 공동주택 중심으로 옮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시민 주거환경의 대대적인 변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본다.

보도에 따르면 인천시의 공동주택현황자료에서 지난해 말 현재 시내 20가구 이상 공동주택은 모두 1천71개 단지(35만8천792가구)로 아파트 955개 단지, 연립주택 112개 단지 등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인천지역 전체 주택수의 55%가 공동주택으로 시민 절반 이상이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고 이는 지난 2001년 말보다 가구수가 5.7%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결국 1년 사이 공동주택 거주 시민 비율이 절반 미만에서 절반이상으로 변화된 셈이다. 또한 아파트의 평균 층수는 13층으로서 최근 대규모 저층 아파트 단지는 감소하고 고층단지는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공동주택의 단지 규모가 작고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소형 주택이 대부분인 데다 임대주택은 미미하다는 점이다. 300가구 미만 소규모 단지 692개, 300∼1천가구 미만의 중형단지 300개 등으로 소규모 단지가 대부분이다. 또 가구 규모는 전용면적 60㎡ 미만이 17만500여가구(47.5%), 60∼80㎡는 11만780여가구(30.8%), 국민주택규모를 초과하는 85㎡이상 7만7천400여가구(21.7%) 등으로 집계돼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소형 주택이 무려 78.3%나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민들의 주거환경이 얼마나 열악하다는 것인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이처럼 주거환경이 소규모 단지의 공동주택으로 급변하고 있고 국민주택 규모 이하의 소형 주택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다 임대주택 단지는 미미하다는 현상을 인천시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궁금하다. 주택정책은 기본적으로 `내집마련'일 것이다. 그러나 주택보급률만 제고한다고 모든 게 끝나는 것은 아니다. 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도로, 교통, 문화, 환경, 교육 등 제반 시정에 철저한 분석과 대책 수립이 절실한 것이다. 즉 시민의 삶의 질 향상 지표도 새로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 아무튼 도시행정은 바뀌어야 한다. 도시형태는 하늘을 향하는데 도시행정이 바닥을 오락가락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인천시의 분발을 기대해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