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jpg
▲ 김민기 ㈔인천언론인클럽 명예회장
인천지역 6개(경기도 시흥시 소재 훈련장 1개소 포함) 예비군훈련장을 통폐합하는 국방부 계획이 드러나면서 인천이 시끄럽다. 특히 훈련장 통합 이전 대상으로 지목된 부평구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국방부는 인천지역 6개 훈련장을 통폐합해 인천 예비군 훈련대를 창설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인천 곳곳에 흩어져 있는 훈련장을 한데 모아 효율성을 높이고 통폐합 과정에서 과학화 시설 장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 국방부 계획이다. 그러던 중 올 1월 예비군 훈련대 설치 대상지가 부평구 산곡동 모 부대 부지로 드러나면서 부평지역이 발칵 뒤집혔다.

 부평구는 통합예비군훈련장 부평반대협의회를 결성, 시·구의원, 민간·사회단체 등이 나서고 있는 가운데 부평구의회는 예비군훈련대 산곡동 창설 반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의결, 채택했다. 이와 함께 부평구는 통합예비군훈련장 부평 이전 반대 서명 발대식과 가두서명을 펼쳐 5월 현재 24만여 명의 구민들이 서명하면서 부평구민의 결사반대 의지를 국방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지금의 부평구 전체 현황을 보면 반대해야만 할 뚜렷한 객관성이 보인다. 부평구는 전체 면적이 32㎢(인천시 전체 면적의 3.1%), 인구 56만 명(인천시 인구의 19%)으로 전국 226개 지방자치단체 중 인구 19위, 인구밀도 15위로 손바닥만한 좁은 땅에 인구가 밀집돼 있는 도시다. 교육기관(유치원, 초·중·고·대학교)도 156개에다 아직도 14개의 군부대가 주둔 중이다.

 더욱이 부평은 부천시를 경계로 계양구·서구·남동구 등 4개 도시에 동서남북으로 둘러싸여 있어 한 발짝도 더 나아갈 수 없는 울타리 속에 갇혀 있는 도시로, 더 이상 도시계획이 멈춘 상태다.

 부평은 일제강점기 조병창이 생긴 이래 80년 가까이 군부대로 인한 피해를 감수해 오고 있다. 현재도 14개 군부대가 33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군용철도가 도심을 관통하는가 하면 많은 군부대로 인한 재산권 상승 제한, 도심 개발 제한 등의 불편을 국가안보 차원에서 감수해 온 부평 구민에게 또다시 더 큰 불편을 감수하라는 것은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부평구민 전체의 의지다.

 지금 이전 대상지는 반경 3㎞ 인근에 40여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아파트 밀집지역이며, 이전 지역에서 가까운 아파트 단지와의 거리는 30여m에 불과하다. 이런 와중에 국방부가 인천시와 부평구 모르게 인천 통합예비군훈련장 사업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하려 했다는 것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해 7월 인천시에 부평구 산곡동 산 54 일원 군부대에 대한 그린벨트 계획변경 신청을 했다. 관리계획 변경이란 건축물 등을 옮기거나 새로 짓기 위한 행정절차다. 인천시와 부평구는 국방부가 제출한 관리계획 변경을 처음에는 단순한 부대 내 건물이전 재배치사업으로 판단했다. 국방부는 관리계획 변경에서 어디에도 통합훈련장에 대한 기재를 일체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같이 비밀스럽게 추진됐고 외부에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를 눈치 채지 못한 시와 부평구는 올 1월까지 추진계획 변경을 위한 보완서류를 주고받았다.

 그러나 국방부의 비밀스러운 행보는 오래가지 못했다. 언론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진 후 인천시와 부평구는 그린벨트 관리계획서를 국방부로 돌려보낸 후 주민 반대 등의 이유로 재검토를 통보했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국방부의 검은 속내가 드러난 것이라며 하마터면 국방부에 감쪽같이 속아 예비군훈련장 설치를 위한 관리계획 변경을 해 줄 뻔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관련법에 따라 행정절차를 밟았고, 통합예비군훈련장을 숨기려 한 것이 아니라 그린벨트 관련계획 변경에 굳이 기재할 이유가 없었을 뿐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군사시설은 점차 외곽으로 이전되는 것이 추세다. 인천·시흥·김포의 예비군훈련장까지 인천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고 복잡한 부평구로 통합 이전하겠다는 계획의 합당한 근거가 뭐냐고 56만 부평구민은 묻고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