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0.jpg
▲ 25일 남동구 소재의 고물상 주인이 한 할아버지가 손수 주워온 빈 깡통의 무게를 재 값을 계산하고 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폐지 가격은 계속해서 떨어지지만 생계를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를 비롯한 각 군·구에서는 이들의 생활을 위한 지원은 따로 실시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25일 남동구의 한 고물상에 따르면 노인들이 폐지를 주워 팔러 오는 건수는 하루 평균 25건 정도다. 하루에 2~3번씩 오는 노인들을 고려하면 하루 평균 13명 정도의 노인이 고물상을 찾고 있다.

이 고물상 주인은 "요즘엔 폐지나 고철값이 많이 싸져서 예전보다 많은 양을 가져와도 비싸게 쳐주지는 못한다"며 "그런데도 취미든 생계를 위해서든 폐지를 주워서 고물상을 찾는 노인들은 오히려 예전보다 늘어난 편"이라고 말했다.

인근 또 다른 고물상 주인 역시 "값을 많이 못 받다 보니 전문적으로 폐지를 모아 파는 사람들은 많이 줄었다"면서도 "동네 노인들이 주워서 오는 경우가 조금 늘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폐지 수거 노인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지만 시나 군·구 차원에서는 이들만 따로 지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취재 결과 시와 10개 군·구 중 폐지 수거 노인 관련 조례를 제정해 지원하는 곳은 동구가 유일하다. 이마저도 안전사고 예방 정도일 뿐 생활 지원까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동구는 지난해 처음으로 관련 조례를 제정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지원을 시작했다.

동구 관계자는 "자체 조사를 통해 지역 내 폐지 수거 노인이 81명이라고 파악했고, 조례에 따라 올해 예산에 400만 원을 따로 책정했다"며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모자와 야광조끼 등 현재까지 260만 원 정도의 예산이 투입됐다"고 말했다.

중구 등 일부 지역의 경우 동 주민센터에서 오래 근무한 공무원들이 사정을 아는 노인들에게 따로 도움을 줄 뿐 현황 파악은 하고 있지 않다.

이들은 폐지 수거 노인에 대해서만 따로 생활을 지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시 관계자는 "저소득층 등 관리 대상자 중 폐지를 수거하는 사람들이 있을 경우 도울 수는 있겠지만 폐지 수거 노인만을 위한 사업 등을 구성해 실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취미로 하는 노인과 생계를 위해 하는 노인의 구분이 쉽지 않고, 고물상을 정기적으로 찾지 않는 경우도 있어 현황 파악부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