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이동권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들이 정상적인 교육을 받고 학교 졸업 뒤 취업 등을 통해 일상생활에 적응해 나갈 것이라고 믿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인천지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장애인들 가운데 55.6%가 취업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취업한 장애인들마저 정상인과 비슷한 근무를 하고도 월 평균 40만원대 임금을 받고 있다는 것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보도에 따르면 (사)함께걷는 길벗회의 인천지역 장애인 고용실태 조사결과 인천지역 기업체에 고용된 여성장애인은 거의 없으며 고교를 졸업한 뒤 취업한 장애인들도 일반인과 비슷한 하루 5∼10시간을 근무하고서도 임금은 월 평균 44만1천원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고교 졸업 장애인들은 교사들의 추천에 의해 10명중 4명 정도가 취업한 경험이 있을 뿐이며 나머지 6명중 70% 이상은 취업 경험이 전무한 것으로 조사돼 고교를 졸업한 남자 장애인 10명중 4명 이상이 재가장애인으로 남겨지고 있다니 안타깝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조사에서도 드러나듯 기업체가 갖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인천지역 기업체에 고용된 장애인수는 1천658명으로 100인 이상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 기업체 종사자 대비 1.70%에 그치고 있으며 더구나 이 가운데 여성 장애인은 단 108명에 불과하는 것이다. 특히 현재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지 않은 기업체 중 40% 정도만 앞으로 전체 직원수의 1∼2% 수준에서 장애인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답변한 반면 전혀 고용할 생각이 없다는 기업체도 34% 이상이어서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그러나 기업체가 장애인을 고용했을 때 얻는 긍정적인 효과가 장애인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변화와 기업 이미지 쇄신 정도에 머물고 있으며 장애인들을 고용할 경우 어떤 준비를 어떻게 해야 될지 몰라 고민된다는 답변을 보면 장애인 고용 문제를 기업체에만 떠넘기는 것은 무리라는 것도 알 수 있다.
 
기업체들은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우선 편의시설 및 장비 설치에 대한 재정상 문제를 비롯해 고교 졸업생이라 해도 일선 작업현장에 대한 직업훈련이 전무하다는 것 등을 꼽고 있기 때문이다. 무조건 의무고용제를 강요하기 보다는 장애인을 고용했을 때 임금 및 세금 일부감면을 비롯해 시설장비에 대한 세제 및 금융 지원은 물론 기업들이 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직업훈련이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장애인 고용을 기업체에게만 맡기기 보다 이들의 취업을 뒷받침할 직업훈련 및 지원센터 확충,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책 등 인천시가 앞장서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해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