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인가구 600.jpg
▲ 사진 = 아이클릭아트
‘1인 가구’가 화두가 된지 꽤 됐다. 초고령화사회와 저출산시대의 산물(産物)이다. 인천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인천의 1인 가구는 남다른 특징이 있다. 무엇보다 취업 1인 가구의 단순노무 종사자가 많다는 것이다. 1인 가구의 주택 임대비율 또한 높다. 이는 삶의 질이 열악하다는 의미로 다가온다. 인천시가 급증하고 있는 지역의 1인 가구를 위한 장기적인 전략을 새로 짜야 할 때다.

18일 시에 따르면 인천의 1인 가구는 2015년 기준으로 24만3천261명이다. 이 중 15세 이상 취업 1인 가구는 14만190명으로 57.6%를 차지했다. 인천은 타 지역에 보다 1인 가구의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인천의 취업 1인 가구 중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은 15.1%로 경기 13.4%, 서울 11.2%보다 많았다. 반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율은 16.1%에 불과했다. 서울은 29.4%, 경기는 20.8%에 달했다. 사무종사자 역시 인천이 15.1%, 서울 19.4%, 경기 15.4%로 조사됐다. 서울이나 경기에 비해 인천은 저임금과 불안정한 노동환경에 노출돼 있는 1인 가구가 많은 것이다.

여기에 인천의 1인 가구 거주지들은 67.3%가 전·월세 등 임대주택에서 살고 있었다. 1인 가구가 서울, 경기보다 집값이 싼 인천에 정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인천의 1인 가구에 대한 현황과 특성 연구를 통한 복지서비스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열악한 근로환경에 노출돼 있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고용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 장기임대 등 주거정책 마련과 주거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대상이나 지역에 국한된 기존 복지서비스에서 벗어나 1인 가구 전반을 아우르는 서비스를 개발해 시행돼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

청년층과 더불어 남성 홀몸노인에 대한 정책도 함께 제시돼야 한다. 이들은 식사와 청소 등 일상생활 문제 처리능력이 부족하고 경제활동 중심으로 이뤄진 관계가 노후에 끊긴다. 결국 이들의 불안한 생활은 지역사회의 부담으로 올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조승헌 인천발전연구원 지역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은 "남성 홀몸노인의 문제를 사회적,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관계형 주거공간 공동체를 만들고, 다양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윤영 도시경영연구실 부연구위원도 "1인 가구는 청년과 중·장년층, 노인 등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범주에 따라 다양한 정책수요를 가지고 있고, 인천의 경우 타 지역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며 "인천의 1인 가구에 대한 현황연구와 다양한 복지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인천의 1인 가구는 1995년 6만7천546명에서 2016년 25만4천76명으로 18만 명 가량이 늘어났다. 전체 가구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5년 10%에서 2016년 23.9%로 크게 상승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1인가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